유통가의 ‘소비 폭발’ 분위기와는 달리 경제지표들은 경고 신호를 보내고 있다. 아직까지는 소비가 호조를 보이고 있지만 경기 둔화에 따라 조만간 빠른 속도로 꺾일 것이란 전망이다.

"소비, 아직은 괜찮지만 빠르게 꺾일 것"
정부가 가장 최근에 내놓은 소비지표는 통계청이 지난달 말 발표한 ‘8월 산업활동 동향’에서 공개한 소매판매액지수다. 당시 소매판매는 전달 대비 4.3% 증가했다. 3~7월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끊고 반년 만에 반등했다.

한국은행도 지난 20일 ‘향후 재화, 서비스, 해외 소비의 회복경로 점검’(BOK 이슈노트) 보고서에서 방역 조치가 해제된 4월 이후 대면 서비스 소비를 중심으로 민간 소비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소비 증가세가 계속 유지되기 어렵다는 전망이 공통적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한은은 “최근 임금 상승 속도 둔화 등으로 실질구매력 증가세가 약화되고 있고, 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으로 인한 역(逆)자산효과가 발생해 향후 소비 회복을 제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준금리 인상으로 가계의 이자수지 적자폭이 확대되면 민간 소비 여력이 축소된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가 8월 99.3으로 전달 대비 0.2포인트 떨어졌다고 밝혔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4일 발간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5개월 연속 경기 둔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어려운 대외여건 속에서도 민간 소비 중심으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으나 주요국 통화 긴축 가속화, 러시아발(發) 에너지 불안 등으로 세계 경제 하방 리스크가 커지며 향후 경기 흐름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