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고용시장이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직장을 찾지 못한 취업준비생이 급증하고, 취업해도 단시간 일자리에 내몰리고 있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서울교통공사 등 공공기관의 젊은 직원과 취업준비생 등이 협력업체 직원의 정규직화 추진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노노갈등마저 빚어진 것도 ‘청년 고용 절벽’ 때문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청년층(15~29세) 확장실업률은 24.3%를 기록했다. 전년 같은달보다 2%포인트 낮아졌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24.2%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확장실업률은 실제 실업자와 잠재적인 취업 가능자, 고용 시간을 늘리기 원하는 ‘시간 관련 추가 취업 가능자’를 모두 합친 것이다. 일하고자 하는 청년 4명 중 1명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취업준비자는 89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1월 80만5000명을 기록한 뒤 올 들어 계속 80만 명대를 기록하고 있다. 취업준비조차 하지 않고 그냥 쉬는 20대는 36만7000명에 달했다. 더불어민주당 싱크탱크인 민주연구원이 최근 분석한 지난해 연령대별 실업자 비율은 20대가 5.5%로 가장 높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의 일자리 정책은 청년보다 노인 일자리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일자리사업을 평가한 결과에 따르면 공공일자리 중 약 80%는 노인일자리인 것으로 조사됐다. 청년 관련은 3.8%에 불과했다.

이처럼 청년 고용이 악화하는 가운데 각종 정책에서도 외면받은 청년들이 취업 과정의 공정성을 더 따지게 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간 기업의 정규직원인 건보공단 고객센터 상담사들이 건보공단 직원으로 직접 고용해줄 것을 요구하자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이 일어난 게 대표적이다. 건보공단 직원들은 김용익 이사장의 단식 이후 정규직 노조가 대화에 참여할 움직임을 보이자 별도 모임을 구성하고 노조위원장 탄핵까지 거론하는 등 반대 목소리를 더 높이고 있다. 지난 18일에는 사무논의협의회가 열린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 앞에서 1인 시위에 나서기도 했다.

서울시 산하 공기업인 서울교통공사도 고객센터 정규직 전환을 놓고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 17일 젊은 직원을 중심으로 이를 반대하는 서명운동이 벌어지기도 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