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을 추진 중인 정부가 오는 26일 산림일자리 활성화 방안을 내놓는다. 탄소를 흡수하는 산림을 가꾸기 위해 관련 일자리를 대폭 늘리는 것이 골자다. 하지만 일자리 창출 목표의 절반 이상이 부러진 잔가지 줍기 같은 공공일자리에 의존할 계획이어서 지속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산림청 등은 26일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에서 산림 일자리 활성화 방안을 의결·공개한다.

정부가 산림 일자리에 주목한 건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탄소 감축뿐 아니라 흡수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t 수준이다. 국가 총 탄소 배출량의 6%가량을 상쇄하는 규모다. 하지만 나무는 일정 나이 이상이 되면 탄소 흡수 능력이 떨어지는 것이 문제다. 국내에선 1970~1980년대 산림녹화 시기에 집중적으로 조성한 산림이 노령화되고 있다. 현 추세대로라면 2050년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1400만t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산림청은 산림 가꾸기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연평균 2만80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목표다. 이 중에서 연 1만5000개는 공공일자리를 통해 만든다는 계획이다. 부러진 나무 잔가지 등을 주워 산불을 예방하는 산림바이오매스수집단, 노령화된 나무를 베고 새로운 나무를 관리하는 숲가꾸기 등과 관련된 일자리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공공일자리에 절반을 의존하면 재정을 계속 투입해야 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하기 힘들 것”이라며 “궁극적으로는 산림분야 민간 산업 생태계를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