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코로나로 산업 재편 본격화…M&A 시장 활성화 전망 [이슈+]

사진=연합뉴스
무섭게 크는 배달시장 2위 '요기요', 몸값 2조 전망

사진=연합뉴스
우선 업계 안팎의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매물은 배달앱 2위 요기요다.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배달앱 ‘배달의민족’을 인수하기 위해 기존에 보유한 요기요를 팔겠다고 결정했기 때문이다. 외식업계는 요기요의 몸값이 DH의 배달의민족 경영권 인수 가격인 4조8000억원의 절반에 다소 못 미치는 2조원 안팎으로 보고 있다. DH가 요기요 운영사인 딜리버리히어로코리아(DHK)를 매각해야 하는 시점은 내년 6월까지나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시한을 내년 말까지 연장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폭발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는 배달앱 시장의 2위 사업자를 품기 위해 포털사들과 유통업체들이 발빠르게 검토에 나설 것으로 업계는 기대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각 식당 예약과 배달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과 배달앱 '쿠팡이츠'를 선보인 전자상거래(e커머스) 기업 쿠팡이 참전 후보군으로 점쳐진다.
김현용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입장에서는 플랫폼 위상 강화를 위한 놓치기 아까운 기회"라며 "네이버는 국내에서 네이버 예약을 통해 숙박뿐 아니라 식당예약도 진출한 상태로, 인지도가 낮은 네이버 간편주문을 단번에 2위로 끌어올리며 플랫폼 내 서비스간 시너지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딜 추진 의의가 크다"고 평가했다.

자료=현대차증권 제공
코로나 타격 산업 재편…아시아나·이스타 항공 인수작업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로 HDC현대산업개발 인수가 무산되면서 대한항공에 통합하게 된 아시아나항공이 대표적인 사례다.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작업은 9부 능선을 넘어 사실상 '마지막 관문'인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에 다다랐다. 대한항공은 이달 14일 아시아나항공 주식취득 관련 기업결합 신고서를 공정위를 비롯해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연합(EU) 등 경쟁당국에 제출했다. 공정위의 기업결합심사를 통과하면, 대한항공은 사실상 아시아나항공 인수의 걸림돌로 꼽히던 요인을 모두 넘어서게 된다.
지난해 제주항공 피인수가 불발된 이스타항공도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 후 재매각을 추진한다. 이스타항공은 당초 인수 우선협상자를 정한 후 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할 계획이었으나 인수 의향을 보인 기업들의 부담으로 이번에 회생 절차를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법원이 회생 개시 결정을 내리면 회생계획 인가 전 M&A를 통해 법원 주도로 공개매각 절차를 거친다는 방침이다.

재매각을 추진 중인 이스타항공이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사진=연합뉴스
반면 비대면 서비스 수요 급증과 함께 호황을 누리게 된 반도체 업계에서도 M&A가 진행 중이다. SK하이닉스가 국내 M&A 사상 최대 규모인 10조3000억원을 투입해 인텔의 낸드 사업부를 인수하기로 했다.
또한 내년 기업결함 심사가 강화되는 점도 올해 M&A 시장 활성화의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공정거래법 개정안 통과로 내년부터는 인수대상 기업의 매출이 300억원 미만이더라도 거래액이 일정 규모를 초과하면 공정위의 심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인수대상 기업 매출 또는 자산총액이 300억원을 넘지 않으면 공정위의 기업결합 심사를 받지 않아도 되는 올해 말이 다가올 수록 M&A가 활성화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올해 하반기부터 연말에 M&A가 몰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