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을 -2.3%로 낮춰 잡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IMF(국제통화기금) 위기' 이후 최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국 성장률이 1%포인트 낮아지면 한국 성장률은 최대 0.5%포인트 하락하기 때문에 '국제 공조'가 중요하다는 분석도 제시했다.

한경연은 8일 발표한 '경제동향과 전망: 2020년 1분기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충격으로 경제위기 수준의 극심한 경기침체가 불가피하다"며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9%에서 -2.3%로 하향조정했다.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차 석유파동이 있었던 1980년(-1.6%)과 외환위기가 벌어진 1998년(-5.1%)뿐이다. 한경연은 보고서를 통해 '정부의 전방위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내적으로 경제여건 부실과 사실상 생산·소비가 마비됐으며 대외적으로 미국·중국 등 주요국의 급격한 경기위축으로 경기침체 흐름을 전환하기엔 역부족'이라고 진단했다.

소비, 투자, 수출 모두 부진할 것이란 게 한경연의 진단이다. 한경연은 올해 민간소비가 -3.7% 성장하면서 상당 기간 부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전망했다. 기업실적 부진에 따른 임금 상승률 둔화, 야외활동 제한으로 인한 소비의 물리적 제약,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이 소비를 억제하는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부채 상환 부담과 주식·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 역시 소비 둔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됐다,

설비투자는 내수침체와 중국, 미국 등 주요 수출 대상국 경기위축에 따라 18.7%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건설투자 역시 공사 차질과 정부의 부동산 억제정책 영향으로 감소폭이 13.5%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실질 수출도 글로벌 경기의 동반 하락에 따른 세계 교역량 감소로 2.2% 감소할 것이 유력한 것으로 평가됐다. 한경연은 "코로나19 충격으로 상반기엔 우리뿐 아니라 글로벌 경제 전체가 극심한 경기위축이 불가피한 상황"이라며 "향후 경제정책은 국가재정을 일시에 소진하기보다 하반기 이후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는 장기침체기 진입 가능성에 대비해 재정 여력을 일정 정도 비축하는 방향으로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경연은 이날 함께 발표한 '주요 수출대상국의 성장위축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국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미국, 중국, 일본의 성장률이 1%포인트 낮아지면 한국 성장률 역시 0.4~0.5%포인트 하락하는 '연관성'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한경연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연관성을 찾아냈다.

한경연은 독자적 경기부양과 방역만으로는 코로나19으로 주저 앉은 경기를 끌어올리는 게 어렵다고 지적했다. 주요20개국(G20) 회원국으로서 경기부양 논의에 적극 참여해 주요국이 재정지출 확대와 양적완화를 신속히 추진하도록 협력해야 한다고 한경연은 제안했다. 외환시장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해선 주요국과 통화스와프를 확대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코로나19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에서 대규모 재정지출 확대와 양적완화 정책이 시작됐다"며 "이제는 경기부양과 방역에서 주요국과 공조하고 국제무역 촉진을 위해 노력해야한다"고 말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