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10월 ‘2030 미래차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전국 주요 도로의 완전자율주행(레벨4)을 상용화하고, 2030년까지 국내 전기·수소차 판매 비중 확대(33%) 및 세계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내용이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제도 개선에 힘쓰고 있다. 자율차의 기술 레벨을 정의하고 단계별 안전기준을 마련하는 등 상용화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레벨 정의 확립

교통안전공단은 정부 연구개발(R&D) 수행 및 국제기준 협력을 통해 ‘2020년 레벨3 자율주행차 상용화’ 정책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부분 자율주행차(3단계) 안전기준을 세계 최초로 도입했다. 3단계 자율주행 안전기준은 공포 후 6개월 뒤부터 시행된다. 이에 따라 올 7월부터 3단계 자율차 출시와 판매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교통안전공단은 이 과정에서 미국 자동차기술자협회(SAE)에서 정의한 자율주행 기술레벨을 국민 눈높이에 맞게 재구성해 인포그래픽으로 제작·배포하고 단계별 안전기준을 마련했다. 미국 자동차공학회 분류에 따라 3단계를 부분 자율주행, 4단계를 조건부 완전 자율주행으로 규정했다. 3단계 자율차는 운전자가 운전대에서 손을 떼도 알아서 차선을 유지하며 주행한다. 기존 2단계 자율차는 운전대를 잡지 않으면 경고음이 울려 운전자가 직접 운전해야 했다. 5단계는 완전 자율주행으로 모든 조건에서 운전자 없이 운전이 가능하다.

교통안전공단은 이번 개정된 기준에 3단계 자율주행 시스템 구현을 위해 구체적 내용을 담았다. 먼저 착석 여부 등을 감지해 운전자가 운전이 가능할 때만 시스템이 작동되도록 했다. 시스템에 의한 자율주행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면 운전자에게 ‘운전 전환’을 요구한다. 이때 10초 안에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지 않으면 자율차가 스스로 속도를 줄이고 비상 경고 신호를 울린다. 차량 충돌이 임박할 때도 감속과 비상조향 등으로 대응하게 한다. 시스템이 안전하게 가동되도록 최대 속도와 앞차와의 안전거리도 제시해야 한다.

○자율주행 안정성 높이고 데이터 공유

2018년 12월에 자율주행차 시험도시인 K-시티를 개관했다. 경기 화성 자동차안전연구원 내 36만㎡에 이른다. 자동차전용도로 도심부 커뮤니티부 교외도로 자율주차시설 등 5개 환경으로 조성됐다. 자율 주행 때 발생할 수 있는 많은 상황을 구현할 수 있도록 했다. 세계 자율차 테스트 공간 중 유일하게 보유한 버스전용차로와 가로수길 등을 포함해 36개 시설을 갖췄다. 중소기업 및 대학 등에 무료 개방하고 있다. 지난해부터는 가상환경 재현시설, 통신음영시스템 등을 추가로 구축 중이다. 교통안전공단은 앞으로 4단계 자율주행차 시험이 가능하도록 K-시티 환경을 고도화하고 데이터 분석과 공유까지 할 수 있는 센터를 운영할 계획이다.

교통안전공단은 자율주행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주행 및 고장, 정보보안, 제어권 전환 등 레벨3 자율차의 3대 핵심 안정성을 연구한다. 4단계 자율차 상용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차량융합신기술,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등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하고 있다. 2027년 4단계 자율차 상용화를 위해 안전기준 등을 정비할 예정이다.

자율주행 데이터와 관련한 생태계도 육성하고 있다. 지난해 데이터 공유 협의체를 운영해 기업과 대학 간 기술을 교류하도록 했다. 이를 통해 카메라 등 데이터 수집용 센서로 얻은 데이터는 민간이 자유롭게 수집 공유한다. 자율차 데이터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을 발표, 올해 행정규칙을 고시한 뒤 2022년까지 사이버보안 안전기준을 제정한다는 방침이다.

양길성 기자 vertig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