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열 곳 중 세 곳 이상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피해를 겪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 4~5일 중국과 거래하는 국내 중소기업 및 중국 내 현지법인을 둔 업체와 소상공인 서비스업체 등 250개사를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관련 중소기업 피해현황 및 의견조사’를 긴급 시행한 결과, 이들 업체의 34.4%가 직접적인 피해를 체감하고 있다고 10일 발표했다. 대부분 연매출 200억원 미만, 종업원 수 50인 미만의 업체인데, 조사 시점이 지난주여서 피해 업체 수와 규모는 현재 더 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중기중앙회 발표에 따르면 피해를 호소하는 중소기업 응답률은 제조업(31.0%)에 비해 서비스업(37.9%)이 높았다. 제조업체들은 ‘원자재수급 차질’(56.4%)과 ‘부품수급 차질’(43.6%)을 주요 피해 사례로 뽑았고, ‘계약(수주)물량 취소’(23.1%) ‘수출전시회 취소로 인한 수주기회 축소’(20.5%) 순으로 답했다.

서비스업체의 76.6%는 ‘내방객 감소로 인한 매출 축소’를 가장 심각한 문제로 꼽았다. 그다음으로 ‘면접 거부 등으로 인한 영업활동 차질’(8.5%) ‘일시휴업으로 매출 감소’(4.3%) 순이었다. 서비스업 내에서도 도소매업보다 숙박·음식업 등 기타서비스 업체들의 상황이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중소기업의 체감경기가 빠르게 악화되면서 ‘국민 불안감 해소를 위한 신속한 정부의 대책마련’(61.2%)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중소기업들은 이번 사태에 대한 정부의 대응책으로 ‘피해기업에 대한 관세 등 납세 유예 지원’(50.0%) ‘내수활성화를 위한 재정 조기집행’(34.8%), ‘피해기업에 대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34.0%)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글로벌 분업화 시대에 중국산 부품 및 원자재 수입에 차질이 생기면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어렵고 자금압박이 심해질 우려가 크다”며 “지난해 일시적인 경기하락으로 기업의 신용등급이 하락한 상태에서 자금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문혜정 기자 selenm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