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저출산·고령화와 노동시장 이중구조, 계층 간 양극화 등이 성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글로벌 가치사슬 약화로 과거처럼 수출 중심 성장에 의존하기 어려워졌다”고 31일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신년사에서 “우리 경제를 둘러싼 안팎의 여건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통화정책을 이끄는 수장의 신년사에는 한국 경제에 대한 어두운 시각이 곳곳에 담겼다. 이 총재는 “지속되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와 지정학적 리스크는 경기 하방위험 요인”이라며 “성장동력이 약화되고 있는 점도 우려된다”고 했다.

그는 성장 잠재력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 마련과 구조 개혁을 주문했다. 이 총재는 “한국이 주력해야 하는 과제는 단기적으로 성장세 회복을 도모하고 혁신성장 동력을 확충해 나가는 것”이라며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고 신산업을 육성하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민간이 혁신 역량을 발휘해 투자를 늘리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통화정책에 대해서는 “국내 경제 성장세가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 압력이 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완화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다. 그러면서 “통화정책 완화 정도의 조정 여부는 대외 리스크 변수의 전개와 국내 거시경제 흐름, 금융안정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기준금리가 연 1.25%로 사상 최저로 떨어진 점을 고려해 제로금리와 양적완화로 대표되는 비전통적 통화정책 연구를 깊이 있게 진행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이 총재는 “금리정책 여력이 줄어드는 것에 대비해 중장기적으로 국내 금융·경제 여건에 맞는 기준금리 이외 통화정책 수단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금리 여건이 부동산 시장 과열을 부채질할 수 있다며 경계심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 총재는 “저금리에 따른 수익추구 행위가 부동산이나 위험자산에 대한 자금 쏠림으로 이어져 금융 불균형을 심화시킬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 전망에 대한 정확도를 끌어올려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통화정책을 적시에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경제 흐름에 대한 정확한 진단과 예측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경제 전망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더욱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