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과 관련해 “거시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 제공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과 관련해 “거시경제 흐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 제공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5일 “미·중 무역갈등이 심화하고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지연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며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 한은 본관에서 열린 출입기자 오찬간담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이 2% 초반까지 떨어질 가능성에 대해 어떻게 보는가”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금리정책과 관련해 “불확실성 전개 방향과 그것이 우리 경제의 성장과 물가 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면밀히 점검해 통화정책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지난 12일 한은 창립기념식에서도 “통화정책은 경제 상황 변화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해나가야 한다”며 금리 인하를 시사한 바 있다. 이날 재차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다”고 언급함으로써 하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을 열어뒀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 총재는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2.5%에서 추가로 내릴지를 두고는 “7월 전망 때까지 3주 시간이 있으니 미·중 분쟁과 반도체 경기 등의 전개 추이를 지켜보겠다”고 답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우리 경제 불확실성 한층 커졌다"
"경제 어려운 것 왜 모르겠나"…금리인하에 한 발 더 다가간 이주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이달 들어 세 차례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지난 12일 창립 기념사를 통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로 선회할 뜻을 처음 내비쳤고 20일에는 미국 중앙은행(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에 대해 기자들에게 설명하며 “대외여건이 급작스럽게 많이 변하고 있다”고 말했다. 25일 기자간담회에서도 대외 경제여건이 안갯속이라고 강조했다. 한은의 ‘금리 인하 깜빡이’가 갈수록 선명해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올해 3분기에 한 차례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음달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하나

이 총재가 최근 잇따라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것은 실물경제가 그만큼 나빠지고 있다는 판단에서 비롯했다. 이 총재는 이날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고 있고 반도체 경기 회복이 지연되고 있다는 것을 수차례 언급했다. 그러면서 “불확실한 대외여건 영향을 받아서 실물경제의 부진이 지속된 것이 사실”이라며 “거시경제 흐름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의 성장률 하향조정 움직임과 관련해서도 “경제가 어려운 걸 왜 모르고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 총재 발언을 고려할 때 한은이 다음달 내놓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현재 2.5%)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 조정 여부를 묻는 질문에 “이달 말 열리는 미·중 정상회담 결과와 산업활동동향을 비롯해 새로 입수되는 실물경제 지표를 좀 더 지켜보고 보다 정확한 성장흐름을 판단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은이 7월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는 방식으로 금리 인하 명분을 쌓아 오는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이 총재가 언급한 불확실성을 고려하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대 초반으로 낮출 가능성이 커졌다”며 “7월 말 Fed의 금리인하 여부를 보고 8월에 기준금리를 인하하는 것이 유력해 보인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어 실물경제 둔화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통화정책 공조를 긴밀히 진행하고 있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정부와 중앙은행 간에는 여러 가지 통로를 통해 소통이 원활히 이뤄지고 있다”며 “부총리와 해외출장을 같이 가는 경우가 많은데 출장을 갈 때마다 회동과 회의를 열어 여러 가지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우리 경제 불확실성 한층 커졌다"
올해 물가상승률 0%대 시사

이 총재는 올해 연간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0%대에 머무를 것으로 봤다. 그는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압력이 미약한 가운데 공급 측면과 정부 정책 측면에서 모두 당분간 하방압력이 지속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지난 4월 전망치(1.1%)를 밑돌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1∼5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동기 대비 0.6%라는 점을 고려할 때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크게 꿈틀대지 않으면 0%대에 머물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올해 물가상승률이 0%대를 기록한다면 2015년(0.7%) 이후 4년 만이다.

물가가 낮아지면 소비자들이 이익이 될 것으로 보지만 수요 부진에 따른 저물가는 투자·소비를 위축시킬 우려가 있다. 한은은 이에 따라 물가안정목표를 2.0% 수준으로 잡고 물가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이 총재는 “현재 우리나라의 저인플레이션 현상과 관련해서도 적극적인 대응과 신중한 접근의 필요성을 각각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들이 있다”며 “물가 여건뿐만 아니라 거시경제와 금융안정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창립 기념사에서 언급했듯이 상황변화에 따라 적절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완화적 통화정책에 따른 가계부채 우려도 드러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을 추가로 완화할 경우 금융안정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지금의 가계부채 상황을 고려한다면 금리 조정 여부와 관계없이 금융안정을 위한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은 일관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