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아시아나그룹. 사진=연합뉴스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진=연합뉴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아시아나항공 매각을 통해 사세가 중견기업 수준으로 급격히 쪼그라들 전망이다. 계열사는 금호산업과 금호고속, 금호리조트 등 3곳만 남게 된다. 그룹이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애매한 수준이다. 한때 재계 7위가지 올랐던 회사의 위상도 60위권으로 밀려날 것으로 보인다.

금호그룹의 알짜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은 1988년 창립한 이래 성장을 거듭해왔다. 83대의 항공기를 운용하면서 22개국 64개 도시에 76개 국제선을 운영하는 항공사로 커졌다. 지난해 기준 매출은 6조2012억원이다. 그룹 전체 매출(9조7329억원)의 64%를 차지한다.

자산 규모 또한 그룹 총자산과 비슷한 규모다. 아시아나항공의 지난해 말 별도 기준 자산은 6조9250억원으로 그룹 총자산인 11조4894억원의 60%를 차진한다. 그룹에서 가장 비중이 큰 아시아나항공이 떨어져 나가면 그룹 전체 자산 규모의 3분의 1 수준으로 축소되는 셈이다.

금호그룹 자산 규모가 4조5000억원대로 주저앉으면 재계 60위권으로 밀려날 전망이다. 지난해 재계 순위 59위인 유진의 자산 규모는 5조3000억원이다. 60위 한솔은 5조1000억원이다.

금호그룹은 박삼구 전 회장이 2002년 회장으로 취임하면서 본격적인 사세 확장기를 맞았다.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2006년 대우건설, 2008년 대한통운을 잇따라 인수했다. 당시 그룹의 자산 규모는 26조원까지 불어났고 재계 순위 7위까지 올랐다.

하지만 무리하게 추진한 계열사 인수로 그룹 전체가 위기를 맞았다. 차입금 규모가 늘어난 데다 글로벌 금융위기까지 닥치면서 그룹 전체가 유동성 위기에 처했다. 금호그룹은 2009년 재무구조 악화로 워크아웃에 들어갔고 경영권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에 넘어갔다. 이 과정에서 대우건설과 대한통운은 매각됐다.

박 전 회장은 2015년 금호산업을 다시 인수하면서 그룹 재건에 나섰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인수 작업이 자금 압박으로 무산되면서 그의 꿈은 무산됐다. 재계 안팎에선 박 전 회장의 무리한 차입 경영이 결국 그룹 핵심 계열사인 아시아나항공을 매각에 이르게 한 중요 원인으로 지적한다.

아시아나항공도 설립 이후 적자를 면치 못했다. 그러나 2016년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거쳐 수익이 개선됐다. 매출은 2016년 5조7635억원, 2017년 매출 6조5941억원을 기록했고 지난해엔 7조1833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2016년 2564억원에서 2017년 2456억원을 거뒀다. 지난해엔 282억원에 그쳤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