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탈(脫)원전을 하더라도 원전 수출은 강화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다수의 국가에 수출을 성사하더라도 탈원전이 지속되면 원자력업계 일자리는 정체되거나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원전 조기 폐쇄 및 신규 건설 백지화로 경제적 피해를 보게 된 경북 경주시, 영덕군 등은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脫원전 고수 땐…원전 4基 수출해도 일자리 1만1900개 사라진다
산업통상자원부 의뢰로 딜로이트와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올 상반기 수행한 ‘원전산업 생태계 개선방안’ 연구용역 결과에 따르면 국내 원전산업의 2030년 인력수요는 올해보다 1만 명 안팎 줄어들 것으로 추산됐다. 신고리 5호기(2022년), 6호기(2023년) 공사까지 마무리되면 신규 건설수요가 아예 없어지기 때문이다. 정부는 현재 30% 수준인 원전발전 비중을 2030년까지 18%로 낮추는 대신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20%(현재 7%)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우선 원전 수출 없이 탈원전 정책을 추진할 경우 인력수요는 올해 3만9000명에서 2030년 2만6700명으로 감소한다. 원전설계 등 고급 일자리 1만2300개가 사라지는 셈이다.

사우디아라비아에 표준원전 2기 및 소형 원자로 2기를 수출하는 데 성공하더라도 인력수요는 2022년 3500명 ‘반짝’ 늘어날 뿐 2030년엔 다시 1만1900명 줄어들 것으로 계산됐다. 사우디(4기)에 이어 영국에 원전 2기를 수출해도 같은 해 원전 일자리는 9200명 감소한다. 사우디와 영국, 체코, 폴란드 등 한국이 수주전에 뛰어든 모든 프로젝트를 싹쓸이해도 2030년 인력수요는 올해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보고서는 “탈원전 정책으로 원전 시장이 축소되면 관련 업체들이 원전산업에서 이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내에서 24기 원전을 독점 운영 중인 한국수력원자력도 2030년까지 직원 수를 최대 3000여 명 감축해야 한다는 자체 보고서를 내놨다. 이 회사의 국내 원전 관련 직원은 총 7012명인데 탈원전 정책에 따라 2004명 줄어들고, 원전 수출에 실패하면 추가로 1121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이란 예상이다.

경북 등 원전이 다수 있는 지역의 반발도 커지고 있다. 영덕군 주민들은 천지원전 1·2호기 건설 백지화에 따른 사회경제적 손실액이 3조7000억원에 달한다며 청와대와 국회 등을 찾아 시위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박완수 자유한국당 의원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 및 신규 원전 백지화에 따른 경제적 피해는 9조원 이상”이라고 추산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