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 미국 '침입성 없는 식물' 분류, 조경용 권장…국내선 갑론을박
전문가 "기후·환경 다른 만큼 신중…생태계 예상치 못한 영향 줄 수도"
관광 전문가 "지방특징과 상관없는 반짝인기 편승…긴 안목으로 바라봐야"


외래종인 핑크뮬리가 전국의 관광지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지만, 토종식물과 국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연구가 이뤄진 바 없다.

국내 원예·생태 전문가들도 '핑크뮬리'라는 이름을 최근에야 접했다거나, 처음 들어봤다는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핑크뮬리 확산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의견이 분분하다.

하지만 "국내에 들여올 때는 신중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핑크뮬리(학명 Muhlenbergia capillaris) 원산지인 미국에서는 핑크뮬리가 '침입성 없는 식물'(non-invasive)로 분류돼있다.

미국국립수목원은 팜파스그라스, 일본 억새, 갈풀처럼 침입성이 강한 조경식물보다 핑크뮬리나 털수염풀 같은 침입성이 약한 식물을 대안으로 심을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국립수목원에서 외래식물 연구를 담당하는 정재민 박사는 "외래식물을 관상용으로 심었을 때 심은 자리에만 있다가 없어지면 괜찮은데 씨가 바람이나 물을 따라 이동하며 농경지나 개울가, 자연 생태계로 퍼져나가며 예상치 못한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이럴 가능성이 얼마나 큰지에 따라 침입성이 큰 식물과 아닌 경우를 구분한다"고 설명했다.

정 박사는 이어 "미국에서 침입성 없는 식물이라고 판단했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침입성 없는 식물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면서 "미국과 우리는 기후와 환경이 달라서 우리의 사정에 비추어 침입성이 있는지를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핑크뮬리는 국내에서도 생태계 유해종으로 지정돼있지는 않다.

하지만 도입은 좀 더 신중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온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손병구 부산대 원예생명과학과 교수는 "억세 종류인 핑크뮬리는 기본적으로 생존력이 강하기 때문에 국내에 도입된 지 얼마 안 돼 지금 그 여파를 확실히 알 수 없어서 신중하게 관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용 동아대 생명과학과 교수도 "관리를 얼마나 세심하게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바람에 날려 번지는 꽃가루를 일일이 통제하기는 어렵지 않겠냐"면서 "핑크뮬리가 토종식물과 생존 경쟁을 벌이거나 다른 종과 수정해 이종을 생산하는 등 유전적 변이를 일으킬 수도 있고, 시간이 지나야 드러나는 부작용도 있다"고 밝혔다.

특용작물 농가인 심재석 엉겅퀴영농조합법인 대표도 "외래종이 농장 주변이나 논밭에 퍼지면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 같다"면서 "민들레처럼 날아와서 엉겅퀴 농장에 뿌리를 내리면 유전자에 영향을 줄 수도 있고 생육을 억제할 수도 있다"며 우려했다.
[핑크 열풍] ③ 이렇게 막 심어도 되나…엄연한 외래종(끝)
핑크뮬리 확산이 지자체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현상도 문제라는 관광 전문가의 지적도 나온다.

지방특징과 상관없는 반짝인기를 위한 것으로 좀 더 긴 안목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다.

최영기 전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너무 분위기나 유행에 편승해서 핑크뮬리 조성 사업을 진행해서는 안 된다.

조성 사업이 지역 경제에 파급효과를 전혀 주지 못한다"면서 "정읍의 구절초나 고창의 청보리처럼 관광객을 끌어들일 뿐 아니라 지역 주민의 농가소득으로도 이어지는 발전적인 방향으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