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고용동향’ 통계는 취업자 수뿐만 아니라 일자리의 질 측면에서도 ‘고용 참사’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나마 일자리가 늘어난 것도 도시에서 취업을 포기한 귀농 인구와 공공 근로에 참여한 노인 인구가 대거 취업자로 잡혔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가 5000명 증가(전년 동기 대비)에 그친 가운데 50, 60대를 제외한 대부분 연령대에서 일자리가 줄었다. 특히 경제의 ‘허리’에 해당하는 40대와 30대 일자리가 큰 폭 감소했다. 청년 취업난을 반영해 20대 일자리 역시 4만8000명 줄었다.

왜곡되는 고용시장… 일자리 質도 나빠져
반면 50, 60대 취업자 수만 큰 폭으로 증가했다. 50대가 4만 명, 60대가 25만1000명 늘었다. 문제는 50~60대가 채운 일자리의 질이 그다지 좋지 않다는 점이다. 지난달 일자리 증가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9000명), 공공행정·국방(6만6000명) 등이 주도했다. 대부분 공공일자리 분야다.

특히 60대 취업자 수는 정부의 공공일자리 지원 효과가 반영된 것이어서 일시적으로 숫자만 늘어난 것이라는 지적이다.

업종별로도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하는 제조업 일자리가 큰 폭 줄어든 반면 농어업 일자리는 오히려 증가했다. 제조업 일자리는 7월에만 12만 명 이상 줄었고, 농어업 일자리는 6만1000명 늘었다. 농어업 취업자 증가도 좋은 신호로 보기는 어렵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농어업 취업자는 1998년 이후 매년 6만2000명씩 감소하다가 지난해 6월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 정부는 농어업 취업자 증가 사유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구직자들이 제조업, 서비스업 취업에 실패하자 농어업으로 몰렸을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가 나온다. 정부가 태양광 지원에 나서는 것을 이용해 이 분야에 뛰어드는 사람도 상당수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은지 기자 summi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