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여당 원내대표까지 훈수 두는 포스코 회장 선임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8월25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차기 당대표를 뽑는 규칙을 정하느라 분주하다. 원내 소속 의원들은 물론 전국에 흩어진 당원들의 의견을 모아 게임의 규칙을 정해야 한다. 야당이나 다른 이해당사자의 의견은 청취하지 않는다. 자신들이 정한 당헌·당규에 따라 대표를 정하고 책임도 스스로 진다. 괜히 정부 등 외부에서 관여하려 들면 ‘의도가 있는 간섭’이란 오해를 받기 십상이다. 당원이 아닌 일반 국민의 뜻을 일일이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그게 민주당의 ‘규칙’이다.

19일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나온 ‘포스코 회장 선임 절차’에 대한 비판은 이 같은 맥락에서 의문을 낳는다. 포스코가 한창 회장 선임 절차를 진행 중인 상황에서 느닷없이 집권여당이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포스코 최고경영자(CEO) 선임 절차에 전임 사장이 영향력을 끼친다는 의혹이 있다”며 “국민의 기업을 사유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또 “절차적 투명성이 굉장히 중요하다”며 “이를 제도화하는 작업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권칠승 원내부대표도 “밀실 논의를 중단하고, 공개적이고 투명하게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고 거들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수장이 교체된 포스코는 서슬 퍼런 여당 지도부의 질타에 냉가슴을 앓고 있다. 더구나 민주당은 지방선거 압승으로 갈수록 기세가 등등해지고 있다.

포스코는 사외이사로 구성된 ‘CEO 승계 카운슬’을 통해 5명 안팎의 최종 면접 대상자를 CEO후보추천위원회(추천위)에 제안하고, 추천위가 심층 면접을 통해 한 명의 회장 후보를 이사회에 추천하도록 규칙을 정했다. 외압에 휘둘렸던 ‘포스코 잔혹사’를 경험한 탓에 중간 과정을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도 포스코가 스스로 만든 방식이다.

여당에선 ‘포스코는 국민의 기업’이라는 명분을 앞세웠다. 하지만 정치권의 인사 개입을 정당화하진 못한다. 괜히 외부에서 관여하려 든다면 ‘의도가 있는 간섭’이란 오해를 받기 십상이다. 포스코가 ‘공기업’ 딱지를 떼고 민영화한 지 올해로 벌써 18년째다.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