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재료에 외식비·택시요금까지 서민 물가가 줄줄이 오르면서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기대심리가 퍼지고 있다.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건비 부담을 견디지 못한 자영업자와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앞다퉈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통계청이 발표하는 공식 소비자물가 지표는 아직 낮지만 가격 인상이 광범위하게 확산하면 인플레 기대심리와 수요를 자극해 실제 인플레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방위로 이뤄지는 가격 인상

연초 외식업계에서 시작된 가격 인상은 업종이나 기업 규모, 지역과 무관하게 전방위로 이뤄지고 있다. 해마다 가격을 올리는 기업이 있긴 했지만 올해처럼 일제히 인상되는 건 이례적이란 분석이 많다. 기업들은 올 들어 최저임금이 전년 대비 16.4% 인상된 데 따른 인건비 부담을 가격 인상의 핵심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월 전체 외식 물가는 1년 전보다 2.8% 올랐다. 2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편의점 세븐일레븐은 지난달 일부 도시락과 삼각김밥, 샌드위치 가격을 100~200원 인상했다. GS25도 일부 도시락과 주먹밥 가격을 100~300원 올렸다. 각 지역에 분포돼 있는 많은 중국집은 짜장면과 짬뽕 가격을 500~1000원가량 인상했다. 김밥천국 롯데리아 맥도날드 맘스터치 등 유명 패스트푸드 업체 역시 일제히 가격을 올렸다.
외식물가 이어 택시요금까지 들썩… '인플레의 공포' 닥치나
이처럼 대중적인 음식의 가격이 집중적으로 오르다 보니 서민 물가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졌다는 목소리가 높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식재료 가격과 인건비 상승으로 올 상반기와 하반기에도 가격 인상은 더욱 확산할 것”이라며 “업체들이 기존에 무료였던 서비스마저 유료로 바꾸고 있어 서민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은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이르면 올 7월부터 택시요금을 최대 25% 올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인상이 현실화되면 택시 기본요금은 현재 3000원에서 4500원으로 높아진다. 2001년(약 25.3%)에 이은 최대폭의 인상이다.

◆괴리 커지는 공식 통계·체감 물가

생산자물가도 심상치 않다. 한은에 따르면 올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3.50(2010=100)으로 전월보다 0.4% 상승했다. 지난해 9월(0.7%) 후 상승폭이 가장 컸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통상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피망 풋고추 파프리카 등 농산물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전체 생산자물가를 이끌었다.

하지만 통계청의 공식 통계는 이런 현실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전년 동기 대비)은 17개월 만의 최저인 1.0%였다. 외식 물가 등이 치솟으면서 소비자가 실제 느끼는 물가 상승률은 높지만 소비자물가 산정 때 포함되는 전·월세, 휴대폰 요금 등의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낮았기 때문이란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잇따른 서민 물가 인상으로 인플레 상승 압력이 커질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천구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외식 가격부터 택시 등 교통비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가격 인상이 이뤄지면 인플레 기대심리가 갈수록 높아질 것”이라며 “이는 다시 수요를 자극해 실제 인플레 압력을 확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소비자가 생각하는 향후 1년간 물가 전망을 뜻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은 올 1월 2.6%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기대인플레이션은 작년 11~12월 2.5%에 머물다가 올 들어 0.1%포인트 오름세를 나타냈다.

일각에선 물가 인상이 확산되면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등을 통해 저소득층의 소득을 늘려 총구매력을 증대시키는 ‘소득주도성장’ 효과를 크게 희석시킬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