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5세 이상 농가비율 38%·40세 미만 농가는 1% 불과
김병률 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 "산업·복지프로그램 준비해야"

우리나라에서 농사를 짓는 사람 10명 가운데 4명은 65세 이상이고, 10년 후에는 농가인구의 절반이 65세 이상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같은 농촌 고령화는 산업으로서의 농업기반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것으로 산업과 복지프로그램을 만들어 농촌사회를 살리고 미래농업도 준비해야 한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김병률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부원장은 18일 자체 기고를 통해 "작년 말 현재 농가인구 257만명 중 65세 이상 고령은 99만명으로 38.4%를 차지하고 있다"며 "10년 후에는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율이 48%에 달해 고령화가 극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부원장은 "40세 미만 청년농가는 2000년만 해도 9만호였으나 지난해에는 불과 1만호 밖에 되지 않아 1% 미만이 됐다"며 "농업인 고령화 심화는 무엇보다 농업생산인력의 질적 저하로 이어져 농업 생산성이 떨어지고 농업경쟁력을 크게 약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원장은 "산업과 복지 양 측면에서 농업인 고령화 대응책을 모색해야 한다"며 "산업 측면에서 농업기술 첨단화, 규모화,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는 고령농의 은퇴와 경영승계 시기를 가급적 앞당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잘 짜야 한다"고 말했다.

김 부원장은 "기초연금, 농지연금, 경영이양연금, 농지은행제도 등의 종합적인 검토와 선진국 사례 벤치마킹을 통해 프로그램을 전면 재조정해야 한다"며 "일본과 같이 마을 영농, 집락영농체계로 고령농의 실질적인 영농 2선 후퇴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고령농 영농선택제를 추진해 은퇴를 선호하도록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며 "프랑스, 일본과 같이 청년취업농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정책을 강화하고 지속해 세대교체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만 미래농업을 준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부원장은 "복지 측면에서는 국가 차원의 농촌복지프로그램을 보강해 농민들이 편안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고령농의 종합복지 차원에서 의료, 문화, 오락 기회를 주고, 수준에 맞는 공동체 일거리를 만들어줘 생활비나 용돈을 벌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나주연합뉴스) 전승현 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