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일본의 정상들이 지난 1일 서울에서 회의를 열었다. 회의 명칭을 쓸 때 나라 순서를 일부 언론은 ‘한·중·일’로, 다른 언론은 ‘한·일·중’으로 표기했다. 어느 게 맞는 걸까.

이번 회의의 공식 명칭은 ‘한·일·중 정상회의’였다. 외교부 관계자는 2일 “3국 정상회의와 관련해선 의장국을 맡는 순서대로 표기하기로 세 나라가 합의했다”며 “한국이 올해 의장국이고, 일본이 다음 회의 의장국이기 때문에 이번 회의는 한·일·중으로 공식 표기했다”고 말했다. 이 원칙에 따라 내년에 일본에서 3국 정상회의가 열린다면 회의 명칭은 ‘일·중·한 정상회의’가 된다.

하지만 이 같은 표기 원칙을 언론이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3국의 언론들은 자국을 앞세우는 통상적인 표기법에 따라 ‘일·중·한’(일본 언론), ‘중·일·한’(중국 언론)의 순서로 이번 3국 정상회의를 표기했다.

이런 식의 표기법은 자유무역협정(FTA) 등의 명칭에도 적용된다. 한·중·일 FTA(한국)는 중국에선 중·일·한 FTA, 일본에선 일·중·한 FTA라고 부른다. 다만 공식 영문 명칭은 ‘C·J·K FTA’로 통일돼 있다. 중국(China) 일본(Japan) 한국(Korea)의 영문 알파벳 순서를 따른 것이다.

그렇다면 공식 명칭과 관계없이 통상 한국에서 일본보다 중국을 앞세우는 이유는 뭘까.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나라의 크기나 역사적 배경 등을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중국이 중공이던 시절에도 한국은 한·중·일이라고 불렀다”며 “러일전쟁이나 중일전쟁 등에서도 중국과 러시아를 앞세웠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관계자도 “북한과 미국을 외교부는 미·북의 순으로 적는데, 미국이 한국과 우방이라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며 “그러나 언론들은 같은 민족이란 점을 우선해 북·미 순으로 쓰기도 한다”고 말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