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과잉유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다시 자산시장의 거품현상을 유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한국 뿐 아니라 각국이 적절한 유동성 관리를 통해 자산 및 금융시장을 안정시킬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금융연구원 신용상 연구위원은 29일 `머니 갭(Money Gap)비율을 이용한 국가별 과잉유동성 여부 판단 및 정책적 함의' 보고서에서 이같이 말했다.

신 연구위원은 "유동성갭 비율을 이용해 주요국의 유동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미국 이외에 유럽연합(EU), 영국, 호주, 일본, 한국 등 모든 국가에서 실물경제활동을 웃도는 초과유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정책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한 2004년 7월 이후 2분기 정도 시차를 두고 2005년 1.4분기부터 유동성갭 비율이 음(-)의 값으로 전환됐다.

이에 따라 부동산 가격도 2005년 3.4분기부터 안정세를 보였다.

유동성갭 비율이 양(+)의 값이면 시중유동성이 실물경제활동에 비해 초과공급된 것이며, 음(-)의 값이면 시중유동성이 실물경제활동에 비해 부족해 긴축상황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과 달리 EU, 영국, 호주의 경우 저금리 기조로 인해 2005년 하반기 이후 유동성갭 비율이 양(+)의 값으로 전환된 뒤 빠른 속도로 상승하면서 부동산 가격도 상승세로 전환됐다.

한국은 2006년 들어 본격적인 과잉유동성 상태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 연구위원은 "저금리 기조로 증대된 유동성이 부동산시장으로 유입됨에 따라 전 세계 자산가격 거품형성이 진행중일 가능성이 높다"면서 "글로벌 차원의 적절한 유동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 연구위원은 미국의 경우 2004년 하반기부터 17차례의 정책금리 인상을 통해 금리정책 기조에 대한 확실한 신호를 시장에 줌으로써 유동성 및 자산가격 안정에 기여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신 연구위원은 "한국의 경우 최근 과잉유동성 축소를 위한 정책당국의 강력한 대책과 의지표명에도 불구하고 단기외채 급증으로 해외부문의 유동성이 확대되고 금융권 대출이 중소기업 부문으로 쏠리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재영 기자 fusionjc@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