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밸리에는 기반기술을 갖춘 많은 연구기관들이 몰려있지만 연구기반과 지역산업간 연계성 부족, 벤처금융시장 미성숙, 대규모 수요지역인 수도권과의 원거리 위치, 집적된 연구기관들의 시너지효과 발휘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은행은 4일 `대덕밸리의 최근 동향과 향후 발전과제'라는 보고서에서 대덕밸리내 연구소의 64.8%가 생명공학, 정보산업, 신소재 및 정밀화학 등 첨단산업 위주로 돼 있어 지역산업간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 벤처기업의 초기단계에서는 소액 자금조달이 가능하지만 제품화, 시장개척 등 성장단계에서 대규모 자금이 필요할 경우 벤처캐피털이 매우 부족해 일부 기업들이 금융업무를 서울로 이전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은은 대전지역이 수도권과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어 고급인력 채용이나 안정적인 판로확보면에서 수도권업체에 비해 불리하며 연구기관간 중복 연구개발을 방지하고 상호 효율적인 분업체계 구축을 위한 노력도 부족한 현실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대덕밸리 벤처기업들은 벤처업계의 전반적인 불황에도 불구하고 평균매출액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36억8천만원을 기록했다. 1인당 매출액은 정보기술(IT)산업의 경기위축으로 1억720만원에 그쳐 전년대비 10.4% 감소했다. 지난해말 현재 대전지역의 벤처기업(중소기업청 벤처확인 기준) 수는 총 503개로 전국의 4.4%를 차지했다. (서울=연합뉴스) 진병태기자 jb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