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의 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대단위 재배단지 조성과 생산성 향상 등 콩 증산정책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됐다. 농림부 심재천 농산과장은 18일 농촌진흥청 산하 호남농업시험장(전북 익산시 송학동)이 주최한 '식용 콩 자급률 향상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에서 이같은 의견을 제기했다. 심과장은 이 자리에서 "10a 당 소득을 비교하면 고구마가 61만5천원, 밭벼 47만7천원인데 비해 콩은 36만8천원에 불과하고 콩 가공업체들이 값싼 수입콩을 선호해국내 콩 재배면적은 95년 10만5천㏊, 97년 10만㏊, 99년 8만7천㏊, 작년에는 8만6천㏊ 등으로 해마다 크게 줄어드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그는 "콩 증산을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농협이 주체가 되어 재배면적이5㏊ 이상인 집단재배단지 육성이 절실하며 시중가격보다 낮은 정부수매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호남농업시험장 박호기 연구원은 "식용 콩의 자급률이 24.5%로 저조한 상황에서우리국민의 식생활과 관계가 깊은 두부와 장류 등 연간 49만t의 콩을 자급하는 것이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연구원은 또 "콩의 ㏊당 생산성은 캐나다가 2.63t으로 가장 높고 미국 2.58t,일본 1.76t, 중국 1.73t인 반면 우리나라는 1.53t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생산비 절감을 위한 기술개발과 기계화 등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날 심포지엄에는 한.중.일 3개국의 농업연구가와 관계자 등 200여명이 참석했다. (익산=연합뉴스) 전성옥기자 sungok@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