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의 독자 생존 가능성이 공식 제기됐다.

신국환 산업자원부 장관은 8일 기자간담회에서 "대우자동차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에 매각하는데 실패하면 국내외 다른 자동차메이커와 전략적 제휴를 맺는 방식으로 독자생존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GM 외에도 다른 해외 메이커가 대우차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신 장관은 "정부는 4월까지는 GM이 대우차를 인수할 의사가 있는지 없는지를 최종 확인할 것"이라며 "대우차는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만큼 반드시 제값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정부가 대우자동차의 독자생존 가능성을 언급하고 나선 것은 분명한 의사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GM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이자 매각작업에 실패할 경우를 대비한 수순이라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사실 포드에 이어 GM마저 인수포기 의사를 공식화할 경우 대우차 처리를 위한 별도의 시나리오 작성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물론 아직까지 정부는 GM으로의 매각쪽에 무게를 두는 분위기다.

GM이 자본제휴사인 피아트사를 의식해 폴란드공장 인수의사는 철회했지만 국내의 창원 및 부평공장과 인도공장 등에는 상당한 관심을 갖고 있다고 보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대우차 인수 작업을 주도해온 GM의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 외에 최근 들어 유럽지역본부와 북미지역본부도 대우차 인수에 따른 이해득실을 따지기 시작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처럼 GM을 ''압박''해 가는 한편으로 대우차 국내외 공장에 대한 분할매각 방안을 병행 추진,인수자의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GM이 필요에 따라 몇몇 공장을 분할인수하겠다는 제안을 내놓는 경우도 협상에 응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별개로 국내외 다른 자동차 메이커가 GM에 앞서 해외공장 등에 대한 인수의사를 밝힐 때도 GM과 사전 동의를 전제로 협상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대우차가 어떤 방향으로 처리되더라도 15개의 해외 생산공장과 31개 해외판매법인 가운데 절반 이상은 청산 정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아서앤더슨컨설팅의 보고서에도 해외현지법인중 3분의 1 정도만 독자정상화가 가능하다는 분석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대우차는 국내 구조조정을 마무리한데 이어 해외 생산공장 및 판매법인에 대한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해외 공장과 법인의 사업성을 고려해 회생 또는 매각의 수순을 밟을 계획이다.

회생 판정 공장이나 법인도 인력을 30% 이상 줄이기로 방침을 세웠다.

한편 대우자동차는 이날 노조가 파업을 철회함으로써 부평 군산 창원 등 전공장이 정상가동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김수언·강동균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