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만족' 청년 결혼 의향 68.4% vs '불만족' 그룹은 46.3%"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저출생 예산 중 기업 관련 3.2%뿐"
직장 만족도 높으면 결혼·출산 의향↑…"기업 지원 늘려야"
직장 만족도가 높을수록 결혼과 출산 의향이 커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정부 저출생 예산의 3.2%에 불과한 기업 관련 예산을 확대하고, 저출생 대응에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은 12일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에서 '인구위기 대응 K-ESG 왜 주목해야 하는가'를 주제로 '2024 제1차 인구 2.1 세미나'를 개최했다.

발표자인 임동근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 연구위원은 직장 만족도가 높으면 결혼·출산 의향이 20%포인트까지 증가한다는 조사 결과를 소개하면서 기업의 인구위기 대응 참여를 강조했다.

연구원이 미혼 청년 671명을 대상으로 결혼 의향을 조사한 결과 직장에 '만족'한다고 답한 응답자의 68.4%가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반면 직장에 '불만족'한다고 답한 경우에는 46.3%만이 결혼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직장에 만족하는 응답자 그룹과 비교해 결혼 의사가 있다는 응답률이 22.1%포인트나 낮았다.

출산에 대한 의향도 직장 만족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전체 응답자 924명 중 직장에 '만족'하는 그룹은 59.2%가 출산할 의향이 있었다.

'불만족' 그룹은 47.1%만이 출산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

직장 만족도 높으면 결혼·출산 의향↑…"기업 지원 늘려야"
임동근 연구위원은 "기업이 가족친화적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청년의 결혼과 출산 의향을 증가시키는 데 직·간접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간 정부의 저출생 대응은 기업과 가깝지 않았다"며 "작년 저출산 대응 예산 중 주택 예산은 44.3%를 차지한 반면, 기업 관련 예산은 3.2%에 불과했다"고 꼬집었다.

임 위원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과 양육 친화적 문화를 정착할 수 있도록 기업이 납득할만한 수준의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며 "기업 생존을 위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인구위기도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한국ESG연구소가 '인구 위기 대응 ESG 우수 기업 평가모델' 구축 필요성을 설명하면서, 기업이 저출생 대응에 적극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유인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평가 지표로는 ▲ 출산 및 양육 단계 지원 ▲ 배우자 지원 ▲ 탄력적 근태 관리 ▲ 임직원 삶 지원 ▲ 출산·육아 중 고용 보장 ▲ 직장 내 차별 금지 ▲ 임직원 고충 해결 ▲ 지방소멸 대응 등이 포함됐다.

통계청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산가능인구는 2022년 3천674만명에서 2040년 2천903만명, 2072년 1천658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중위연령은 2022년 44.9세에서 2072년 63.4세로, 취업자 평균 연령은 2022년 46.8세에서 2050년 53.7세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노동력이 급격히 늙어가는 데 비해 같은 기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취업자 평균 연령은 42.6세에서 43.8세로 소폭 높아질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