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ESG] 칼럼
박민혜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사무총장. 사진=WWF
박민혜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사무총장. 사진=WWF
“환경단체나 NGO라는 말 대신 재단이나 비영리단체로 소개하는 게 어떨까?”

세계자연기금(WWF) 한국본부에 합류한 9년 전, 파트너십 체결을 논의하던 한 기업 관계자에게 들은 말이다. 이미 다양한 글로벌 기업들이 WWF 네트워크와 협력 관계였지만, 당시만 해도 국내 기업들은 NGO에 대해 선입견이 있던 터였다. 그렇다 보니 환경 NGO가 어떤 목적으로 기업을 만나려고 하는지 상세히 설명하고 나서야 겨우 미팅 기회를 만들 수 있었다. 10년이 지난 지금, 상황은 대반전이다. 글로벌 이니셔티브를 주도하는 NGO와 어떻게 파트너십을 맺을 수 있는지 문의가 쇄도한다.

환경 NGO를 바라보는 시선이 바뀐 데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의 역할이 크다. 이제는 글로벌 기업뿐 아니라 국내 기업 또한 다가오는 ESG 규제 앞에서 더욱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기후 위기와 생물다양성 감소가 심각해진 현실에서 매우 환영할 만한 변화다. 그러나 한 가지 아쉬운 점은 ESG가 점점 규범화되면서 수출이나 투자 제재 등 리스크를 대비하기 위한 방향으로 치우치고 있다는 것이다.

ESG의 본질은 기업의 사회적책임이다. ESG의 시작에는 UN 지속가능 발전 목표(SDGs)처럼 국제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함께 이루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최근 WWF가 발간한 <누가 플라스틱 오염 비용을 지불하는가?>는 앞으로 ESG가 어디에 주목해야 하는지, 우리가 놓치고 있던 ESG의 본질이 무엇인지 생각할 거리를 던진다.

보고서는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 오염의 불평등한 구조에 대해 지적한다. 고소득 국가에 비해 3배 적은 플라스틱을 소비하는 저·중소득 국가는 기반 시설 부족 등 이유로 폐기물 처리에서 고소득 국가와 비교해 8배나 많은 사회적비용을 치르고 있다. 또 플라스틱 생산과는 거리가 먼 저·중소득국과 군소 도서 국가들은 수입 쓰레기나 해양으로 이동한 플라스틱 폐기물로 인해 악영향을 입는다. 전 세계 플라스틱 생산과 관련한 사망자의 93%가 저·중소득 국가에서 발생하는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렇게 플라스틱 오염이 저·중소득 국가에 치명적인 이유는 글로벌 플라스틱 공급망의 구조적 문제에서 찾을 수 있다. 플라스틱 생산에 대한 결정은 주로 고소득 국가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에 달려 있다. 이들은 폐기물을 수출할 재정적 기반이 있고,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할 기술적 자원이 있기에 플라스틱 오염의 영향을 덜 받는다. 그러나 사라지지 않는 플라스틱은 지구 어딘가로 흘러 들어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해양생태계가 입는 피해도 연간 최대 4조2000억 달러에 달한다.

ESG 규제 대응 자체가 문제라는 건 아니다. 다만, 지표를 넘어 비즈니스 공급망의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민하고, 국제사회가 지닌 문제를 함께 해결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ESG의 핵심 가치가 되어야 한다. 플라스틱 생산과 전혀 상관없는 사람들이 오염 비용을 치르는 불평등을 해소해야 하고, 최종적으로 자연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폐기물이 일으키는 손실에 대응해야 하는 것이다. 기업이 비즈니스가 자연과 인류에 미치는 영향에 책임을 다할 때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 수 있다. 자연과 모든 사회가 지속가능해야 기업의 ESG도 의미가 있다.

박민혜 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