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REUTERS
사진=REUTERS
글로벌 차입비용이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으면서 신흥국 기업들의 자금난이 심화되고 있다. 주요국 중앙은행의 고금리 장기화(higher for longer) 정책이 이어지는 가운데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인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다. 신흥국 기업들의 내년 만기 채권 규모가 약 4000억달러(약 543조원)에 달하면서 부실 기업들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이나 파산이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29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미 국채 금리가 약 15년 만의 최고치로 치솟고 차입비용이 급등하면서 개발도상국 기업들은 필요한 자금의 10분의 1 수준만 롤오버(만기 연장)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어 “내년에 또다른 회사채 만기가 도래하면 기업의 차환 문제가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며 “어려움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지난해부터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이어온 고금리 정책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최근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면서 기업들의 회사채 금리가 오른 여파다. 국제 채권시장의 벤치마크가 되는 미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지난 27일 4.843%을 기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신흥국 기업들의 회사채 중 2024년 만기인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는 약 4000억달러로 집계된다. 2025년 만기인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규모도 3170억달러로, 향후 2년간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 규모만 7170억달러(약 974조원)에 이른다.

블룸버그는 “신흥시장에서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는 대부분 투자등급이지만, 향후 2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정크등급(투자 부적격 등급) 채권 규모도 1100억달러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사진=REUTERS
사진=REUTERS
블룸버그는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 신흥국 시장에서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을 중심으로 디폴트와 파산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신용등급이 높은 우량 기업들은 높은 이자를 감당할 수 있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은 향후 2년간 리파이낸싱(재융자)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독일 유니온인베스트먼트의 신흥시장 기업 부채 책임자인 세르게이 데르가체프는 “특히 중국과 아르헨티나, 브라질, 우크라이나 등의 일부 기업들이 현재 환경에서 리파이낸싱에 취약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부 신흥국에서는 회사채 금리가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오르고 있다. 두바이에 본사를 둔 오일·가스 시추업체 쉘프 드릴링 홀딩스는 지난달 리파이낸싱 채권 11억달러어치를 10.125%의 금리로 발행했다.

블룸버그 데이터에 따르면 올 들어 현재까지 신흥국 기업들은 260억달러(약 35조원) 규모의 부채를 제때 상환하지 못했다. 2021년(93억달러), 2020년(95억달러) 대비 규모가 급증했다. 지난해 미 중앙은행(Fed)의 통화긴축이 시작된 후 상환하지 못한 금액은 총 800억달러다.

싱가포르 소재 뱅크줄리어스 베어앤코의 신흥국 채권 포트폴리오 매니저 아르노 부에는 “달러 및 유로화 표시 채권 발행이 어려워진 신흥국 기업들이 현지 통화 채권이나 은행 대출 등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다른 경로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들은 현지 시장에서는 더 나은 수준으로 리파이낸싱을 할 수 있고, (이마저 안 되면) 자산 매각 등을 통해 부채 만기를 맞출 수 있다”고 말했다.

S&P글로벌의 애널리스트들은 향후 2년간 신흥국의 저신용 기업들의 유동성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연말이 다가오고 중동 전쟁이 격화되면서 고위험 고수익 투자도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JP모간의 중앙 및 동유럽, 중동, 아프리카 부채 자본 시장 책임자 스테판 웨일러는 “장기간 고금리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일부 기업들은 국제 채권 시장에서 지속가능한 금리로 리파이낸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노유정 기자 yjr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