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곤룡포의 태조·실물과 같은 동의보감…보존과학 만난 유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학중앙연구원, 보존 처리·복원 성과 다룬 특별전 21일 공개
대동여지도·영조 현판 등 주요 유물 복제·복원한 64점 선보여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는 나라의 시조이자 상징으로서 그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도 귀하게 여겼다.
임금이 쓰는 모자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고 정면을 바라보는 모습의 어진(御眞)은 서울, 평양, 경주 등 여러 곳에서 특별하게 보관했는데 그 수가 26점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전주 경기전에 있는 초상화 1점만 남아 국보로 지정돼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지난 2011년 경기전 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제작 시기가 앞선 다른 어진을 참고해 곤룡포 색을 바꿨다.
붉은 옷을 입은 태조 어진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오는 21일부터 열리는 특별전 '보존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조선의 기록유산'에서 이 태조 어진을 비롯한 64점의 자료를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장서각이 보유한 보존 처리 기술과 역량으로 복원·복제한 성과물 등을 모은 자리다.
전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기록유산과 보존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먼저 '왕실의 문화를 기록하다' 부분에서는 태조 어진을 비롯해 실물과 동일하게 복제한 '동의보감',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등의 자료를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제작한 '청구도'와 '대동여지도'는 강릉부터 인천까지의 부분을 연결해 두 지도의 상관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조선의 제21대 왕인 영조(재위 1724∼1776)가 자신의 호 '자성옹'(自醒翁)을 딴 현판을 주문·제작하는 과정을 기록한 자료와 그 결과물인 '자성사 현판' 등도 공개된다.
이어진 '명가의 역사를 보존하다' 전시에서는 경주 손씨, 반남 박씨, 동래 정씨, 고성 이씨, 순흥 안씨 등 유서 깊은 명가에서 장서각에 기증하거나 기탁한 자료를 소개한다.
경북 경주 양동마을 경주 손씨 종가에서 찾은 중국 원나라 법전인 보물 '지정조격'(至正條格) 복제본을 비롯해 다양한 방식으로 복제한 '정학묵 금관조복', '동래군 필적' 등이 전시된다.
전시에서는 원형 복원·보존·복제 등 각 단계와 보존 처리 역량도 설명한다.
관람객들은 학자이자 명필로 이름난 송준길(1606∼1672)이 '학고재명'(學古齋銘), '우곡잡영 20절'(愚谷雜詠 二十絶) 등을 필사한 '보물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의 보존 처리 과정을 볼 수 있다.
장서각은 다음 달 5일부터 11월 2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이번 전시의 주요 자료를 소개하는 특강을 연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자는 "장서각 자료를 연구한 성과와 보존 처리 기술을 접목해 그동안 축적해 온 장서각 보존과학의 성과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장서각 1층 전시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11시 30분, 오후 1시 30분∼3시, 3시∼4시 30분 등이다.
/연합뉴스
대동여지도·영조 현판 등 주요 유물 복제·복원한 64점 선보여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재위 1392∼1398)는 나라의 시조이자 상징으로서 그의 모습을 담은 초상화도 귀하게 여겼다.
임금이 쓰는 모자인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고 정면을 바라보는 모습의 어진(御眞)은 서울, 평양, 경주 등 여러 곳에서 특별하게 보관했는데 그 수가 26점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전주 경기전에 있는 초상화 1점만 남아 국보로 지정돼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지난 2011년 경기전 어진을 모사·복원하면서 제작 시기가 앞선 다른 어진을 참고해 곤룡포 색을 바꿨다.
붉은 옷을 입은 태조 어진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은 오는 21일부터 열리는 특별전 '보존과학으로 다시 태어난 조선의 기록유산'에서 이 태조 어진을 비롯한 64점의 자료를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장서각이 보유한 보존 처리 기술과 역량으로 복원·복제한 성과물 등을 모은 자리다.
전시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눠 기록유산과 보존과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먼저 '왕실의 문화를 기록하다' 부분에서는 태조 어진을 비롯해 실물과 동일하게 복제한 '동의보감',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등의 자료를 볼 수 있다.
조선 후기 지리학자 김정호(1804 추정∼1866 추정)가 제작한 '청구도'와 '대동여지도'는 강릉부터 인천까지의 부분을 연결해 두 지도의 상관성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조선의 제21대 왕인 영조(재위 1724∼1776)가 자신의 호 '자성옹'(自醒翁)을 딴 현판을 주문·제작하는 과정을 기록한 자료와 그 결과물인 '자성사 현판' 등도 공개된다.
이어진 '명가의 역사를 보존하다' 전시에서는 경주 손씨, 반남 박씨, 동래 정씨, 고성 이씨, 순흥 안씨 등 유서 깊은 명가에서 장서각에 기증하거나 기탁한 자료를 소개한다.
경북 경주 양동마을 경주 손씨 종가에서 찾은 중국 원나라 법전인 보물 '지정조격'(至正條格) 복제본을 비롯해 다양한 방식으로 복제한 '정학묵 금관조복', '동래군 필적' 등이 전시된다.
전시에서는 원형 복원·보존·복제 등 각 단계와 보존 처리 역량도 설명한다.
관람객들은 학자이자 명필로 이름난 송준길(1606∼1672)이 '학고재명'(學古齋銘), '우곡잡영 20절'(愚谷雜詠 二十絶) 등을 필사한 '보물 '송준길 행초 동춘당필적'의 보존 처리 과정을 볼 수 있다.
장서각은 다음 달 5일부터 11월 2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이번 전시의 주요 자료를 소개하는 특강을 연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자는 "장서각 자료를 연구한 성과와 보존 처리 기술을 접목해 그동안 축적해 온 장서각 보존과학의 성과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장서각 1층 전시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11시 30분, 오후 1시 30분∼3시, 3시∼4시 30분 등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