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문제해결 고민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AI경제연구소 '인더스트리얼 AI' 웨비나 개최
CJ대한통운, 현대엘리베이터 활용 사례 발표
대웅제약도 신약개발에 활용
CJ대한통운, 현대엘리베이터 활용 사례 발표
대웅제약도 신약개발에 활용
"인공지능(AI) 도입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AI를 통해 무엇을 해결할지부터 고민하는 게 중요합니다."
한국경제신문 AI경제연구소가 지난 5일 '인더스트리얼 AI, 우리가 한다' 웨비나를 개최했다. AI를 사업 현장에 도입한 기업들의 사례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행사다. 지난 5월과 7월에 이어 세 번째 열린 이번 웨비나엔 김정희 CJ대한통운 데이터·솔루션그룹장, 김응도 현대엘리베이터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신승우 대웅제약 AI신약팀 팀장이 사례발표를 맡았다. 고서곤 산업기술진흥협회 부회장, 장웅성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장, 임우형 LG AI 연구원 그룹장도 참석했다.
김 그룹장은 CJ대한통운의 AI 활용사례를 공유했다. CJ대한통운은 △로봇 △데이터 △시스템 관점에서 AI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로봇 기반의 물류센터 운반·하역 자동화, 빅데이터 기반 가격 책정 등이 대표적이다. 김 그룹장은 "AI를 통한 가격 책정이 물류회사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큰 분야"라며 "물류 때의 온도, 배달 거리 등 다양한 조건을 이용해서 고객별로 얼마나 고객들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찾아내서 가격을 프라이싱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승강기 유지관리 서비스에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MIRI' 서비스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0만대의 엘리베이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고객이 불편을 느끼기 전에 해결하는 것이다. 포털도 운영 중이다. 김 CDO는 "실시간 누적 운행량 등을 확인하고 부품교체 예상시기를 분석해서 최적화된 교체시기를 제시한다"며 "그동안 데이터를 정비하고 관리하는 데 시간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MIRI를 통해 서비스 시간과 절차도 크게 단축됐다. 기존 '고장접수→현장 출동→고장진단→자재 확인→자재 이송→교체 수리' 등 6단계에서 '고장접수·진단→출동+자재 이송→고장 확인'으로 줄었다. 김 CDO는 "상업용 빌딩은 더 민감하기 때문에 빠르게 교체하는 게 필요하다"며 "고객군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사업적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해서 사업에 접목한다"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AI의 도입으로 신약 개발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했다. 신 팀장은 "일반적인 방식에선 신약 개발 위해서 임상 단계 적용 전까지 필요한 시간은 10년, 비용은 1~2조원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마저도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만이 가능한 영역이었다.
AI 도입으로 제약업계가 크게 바뀌었다는 게 신 팀장의 얘기다. 그는 "AI를 쓰게 되면 좀 더 빠른 시간에 신약 개발이 가능하다"며 "최장 2년에 비용은 7000억원 정도로 줄었다"고 전했다. AI 신약 개발 벤처기업이 많이 탄생하고 코로나19 기간 백신 개발 기간이 단축된 것도 AI 확산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AI 도입 때 필요한 것으로 '문제해결 의지'가 꼽혔다. 김 그룹장은 "AI를 무분별하게 도입하는 게 아니라 '물류'란 업의 본질을 분석하고 물류센터에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 CDO는 "DT나 AI보다 더 필요한 건 기업의 프로세스 개선"이라며 "해결해야 하는 비즈니스 문제를 발굴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어려움으론 '인력 확보'를 들었다. 신 팀장은 "AI와 신약 개발에 익숙한 인력이 필요한데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현장과의 소통도 AI 도입 때 챙겨야 할 핵심 과제로 꼽혔다. 김 그룹장은 "현장과 소통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했고 김 CDO는 "사람을 AI로 대체하는 게 아니라는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
"AI를 통해 무엇을 해결할지부터 고민하는 게 중요합니다."
한국경제신문 AI경제연구소가 지난 5일 '인더스트리얼 AI, 우리가 한다' 웨비나를 개최했다. AI를 사업 현장에 도입한 기업들의 사례를 공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행사다. 지난 5월과 7월에 이어 세 번째 열린 이번 웨비나엔 김정희 CJ대한통운 데이터·솔루션그룹장, 김응도 현대엘리베이터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신승우 대웅제약 AI신약팀 팀장이 사례발표를 맡았다. 고서곤 산업기술진흥협회 부회장, 장웅성 산업통상자원부 연구개발(R&D) 전략기획단장, 임우형 LG AI 연구원 그룹장도 참석했다.
김 그룹장은 CJ대한통운의 AI 활용사례를 공유했다. CJ대한통운은 △로봇 △데이터 △시스템 관점에서 AI 활용도를 높이고 있다. 로봇 기반의 물류센터 운반·하역 자동화, 빅데이터 기반 가격 책정 등이 대표적이다. 김 그룹장은 "AI를 통한 가격 책정이 물류회사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큰 분야"라며 "물류 때의 온도, 배달 거리 등 다양한 조건을 이용해서 고객별로 얼마나 고객들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찾아내서 가격을 프라이싱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승강기 유지관리 서비스에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다. 'MIRI' 서비스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0만대의 엘리베이터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고객이 불편을 느끼기 전에 해결하는 것이다. 포털도 운영 중이다. 김 CDO는 "실시간 누적 운행량 등을 확인하고 부품교체 예상시기를 분석해서 최적화된 교체시기를 제시한다"며 "그동안 데이터를 정비하고 관리하는 데 시간 투입했다"고 설명했다.
MIRI를 통해 서비스 시간과 절차도 크게 단축됐다. 기존 '고장접수→현장 출동→고장진단→자재 확인→자재 이송→교체 수리' 등 6단계에서 '고장접수·진단→출동+자재 이송→고장 확인'으로 줄었다. 김 CDO는 "상업용 빌딩은 더 민감하기 때문에 빠르게 교체하는 게 필요하다"며 "고객군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사업적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해서 사업에 접목한다"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AI의 도입으로 신약 개발 비용을 줄이고 시간을 단축했다. 신 팀장은 "일반적인 방식에선 신약 개발 위해서 임상 단계 적용 전까지 필요한 시간은 10년, 비용은 1~2조원이 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마저도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만이 가능한 영역이었다.
AI 도입으로 제약업계가 크게 바뀌었다는 게 신 팀장의 얘기다. 그는 "AI를 쓰게 되면 좀 더 빠른 시간에 신약 개발이 가능하다"며 "최장 2년에 비용은 7000억원 정도로 줄었다"고 전했다. AI 신약 개발 벤처기업이 많이 탄생하고 코로나19 기간 백신 개발 기간이 단축된 것도 AI 확산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AI 도입 때 필요한 것으로 '문제해결 의지'가 꼽혔다. 김 그룹장은 "AI를 무분별하게 도입하는 게 아니라 '물류'란 업의 본질을 분석하고 물류센터에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 CDO는 "DT나 AI보다 더 필요한 건 기업의 프로세스 개선"이라며 "해결해야 하는 비즈니스 문제를 발굴하는 게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어려움으론 '인력 확보'를 들었다. 신 팀장은 "AI와 신약 개발에 익숙한 인력이 필요한데 거의 없다"고 토로했다. 현장과의 소통도 AI 도입 때 챙겨야 할 핵심 과제로 꼽혔다. 김 그룹장은 "현장과 소통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했고 김 CDO는 "사람을 AI로 대체하는 게 아니라는 공감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정수 기자 hj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