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 미국 경제가 강한 이유
일반적으로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은 반비례한다. 기준금리를 인상해 물가를 떨어뜨리면 실업률이 올라간다는 얘기다. 이 같은 필립스 곡선 이론은 대부분 적중했다. 가능한 한 물가 하락폭을 크게 하고 가급적 실업률 상승폭을 작게 하는 정도가 정책당국의 공통된 과제였다.

그러나 현재 미국에선 필립스 곡선이 들어맞지 않고 있다. 미 중앙은행(Fed)은 물가를 잡기 위해 지난해 3월부터 17개월간 기준금리를 11회 올렸다. 제로였던 기준금리는 22년 만에 가장 높은 5.25~5.5%로 급등했다. 40년 내 가장 강력한 긴축 때문에 지난해 6월 9.1%였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3%로 떨어졌다. 그러나 같은 기간 실업률은 3.6%로 요지부동이다. 물가가 떨어져도 실업률은 높아지지 않는다는 게 ‘미국형 필립스 곡선’의 새로운 정의가 된 셈이다.

경제학 이론 예외인 미국

기존 경제학 이론을 새로 써야 할 만큼 미국 경제가 강력한 이유가 뭘까.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는 “미국이 2008년처럼 금융위기의 희생양이 되지 않기 위해 15년 이상 부채를 조정해 왔다”고 분석했다. 정부 부채만 늘었을 뿐 가계와 기업은 부채 다이어트를 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08년만 해도 100%가 넘었지만 이젠 그 비율이 76%로 줄었다. 같은 기간 GDP 대비 기업 부채 비율도 110%대에서 82%로 내려왔다.

그러면서 개인 빚의 80%를 차지하는 주택담보대출은 30년 고정금리 대출로 바꿨다. 금리가 아무리 올라도 가계가 받는 타격이 작을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기껏해야 고강도 긴축의 부작용은 고금리 헤지를 하지 않은 실리콘밸리은행(SVB) 같은 지역은행 정도만 겪었다. 부채 부담이 적은 덕에 가계와 기업들은 활발한 소비와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트럼프가 끌고, 바이든이 밀고

초고속 긴축에도 미국이 끄떡없는 또 하나의 요인은 뜨거운 노동시장이다. 코로나19로 미국 내 노동 공급은 급감했다. 조기 은퇴와 육아로 노동시장에서 사라진 건 불가항력에 가까웠다. 여기에 기름을 부은 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반(反)이민 정책이다. 이민이 확 줄면서 미국 내 노동시장은 만성적인 공급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취임 이후 트럼프식 반이민 정책을 되돌리지 않았다. 수수방관하는 식으로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 그러면서 바이든 행정부는 ‘바이 아메리칸’과 ‘메이드인 아메리카’ 정책을 병행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지어 직접 생산하도록 유도했다. 미국 내 투자와 노동 수요를 폭발적으로 늘리는 역할을 했다. 인력을 구하기 힘들어 TSMC처럼 공장 완공을 늦추는 기업도 생기고 있다.

결국 트럼프 전 대통령이 노동 공급을 줄이고 바이든 대통령이 노동 수요를 대폭 늘린 꼴이 됐다. 결과적으로 전·현직 대통령이 미국 노동시장을 ‘불사조’로 만들었다. 정권 교체 속에서도 두 행정부의 정책이 미국의 연착륙을 꿈꿀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되고 있다.

문제는 다른 나라들은 그렇지 않다는 점이다. 한국과 중국, 일본, 유럽 모두 저마다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당분간 계속될 고금리 시대에 한국만의 장점을 살려 어떻게 살아남을지를 고민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