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에서 주요 식재료인 파스타를 둘러싸고 소비자와 기업의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하고 있지만 파스타 가격만 홀로 고공행진 중이라서다. 이탈리아에선 소비자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고, 프랑스는 정부가 제재를 가한다고 으름장을 놓고 있다.

2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이탈리아 소비자 단체 코다콘스는 규제 당국에 가격 담합 가능성을 조사할 것을 요구하는 동시에 소비자들에게 파스타 불매운동을 촉구하고 나섰다. 일종의 '파스타 파업'을 촉구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이탈리아 소비자들이 불만을 표출한 이유는 파스타 가격 때문이다. 최근 몇 달간 물가상승률이 완화되고 있지만 유럽 내 파스타값은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이탈리아의 파스타 1kg당 가격은 지난 3월 전년 대비 17.5% 올랐고, 4월과 5월에도 각각 15.7%, 14% 상승했다.

이탈리아에선 파스타가 생활필수품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로 치면 쌀밥에 해당하는 셈이다. 국제파스타협회(IPO)에 따르면 이탈리아인들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파스타를 소비하며, 1인당 연평균 23kg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스타 가격 때문에 생활비도 치솟고 있다. 지난해 이탈리아 4인 가족의 식료품비는 연평균 7690유로(약 1066만원)에 달했다. 전년 대비 12% 가까이 늘어났다. 여론조사기관 SWG에 따르면 이탈리아 국민의 3분의 1이 식비 지출을 줄였다고 답했다.

파스타 가격은 영국과 독일, 프랑스 등에서도 고공 행진하고 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데이터에 따르면 4월 파스타 가격 상승률은 영국에서 27.6%, 독일에서 21.8%, 프랑스에서 21.4%를 기록했다.
"파스타 안 먹겠다" 불매운동…유럽인들 뿔난 까닭
프랑스 정부는 주요 식품업체들에 가격을 인하하지 않으면 재정적 제재를 가하겠다고 으름장을 놨다. 유럽연합(EU)에서 식품 인플레이션이 가장 높은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와 같은 국가는 식용유, 일부 돼지고기, 밀가루, 우유와 같은 품목에 대해 가격 통제를 의무화했다.

앞서 이탈리아 정부는 파스타값 급등에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지자 긴급회의를 소집한 바 있다. 하지만 자연 조정될 것으로 판단하고 개입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닐 쉬어링은 "가격 통제는 새로운 공급을 저해함으로써 식품 인플레이션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반면 소비자 단체들은 파스타 제조업체가 지나치게 많은 이익을 추구한다고 비난했다. 파스타 주원료인 캐나다산 듀럼 밀 가격이 2021년 하락해왔을 때도 파스타값 상승세는 지속돼왔다는 주장이다. 듀럼밀가격은 최근 소폭 상승했지만, 고점 대비 40% 이상 내린 상태다.
"파스타 안 먹겠다" 불매운동…유럽인들 뿔난 까닭
이탈리아의 바릴라, 드 세코, 라몰리사나와 프랑스 판자니 등 파스타 제조업체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비용 상승을 이유로 파스타 가격이 적정하다는 입장이다. 파스타 업체에 따르면 과거 비싼 값에 구매한 밀이 소진되는 데 시간이 장기간 소요된다. 현재 가격은 이 구매가격을 반영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탈리아에서 4위 파스타 제조업체인 라 몰리사나의 최고경영자(CEO)인 주세페 페로는 "회사들이 최고 가격으로 산 밀 재고를 여전히 소진하고 있기 때문에 파스타 가격이 여전히 높다"며 "서너 달 안에 (소진이) 끝나면, 가격은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현우 기자 o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