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arte 칼럼] '정직한 시선'의 눈빛은 어떤 모양일까
임춘희는 눈(目)에 진심인 작가입니다. 초기엔 눈 형태를 연속 복제하거나 공허한 눈들이 떠다니는 의식 너머의 풍경 같은 작품들을 선보였습니다. 그러다가 눈에 마음을 담기 시작합니다. 눈과 마음이 만나는 많은 작품 중 ‘정직한 시선’이라는 제목이 재미납니다. 과연 그 눈빛이 어떤 모양일지 작품을 한번 찾아보기 바랍니다.

큐레이터 후후씨의 ‘인사동 편지’

배우 김서형은 거식증 환자처럼 말랐다

김서형은 마치 거식증 환자처럼 말랐는데 드라마 ‘종이달’ 때문으로 보인다. 신경쇠약에 걸린 여자가 통통하면 그게 말이 안 될 것이다. ‘종이달’은 동명의 일본 작품을 바탕으로 하는데 영화 주인공은 미야자와 리에였다. 리에에게 ‘종이달’은 하나의 분기점이었다. 리에와 비슷한 사정의 김서형에게도 터닝 포인트가 필요한 시기다.

영화평론가 오동진의 ‘여배우 열전’

갈 길 멀어 힘들다면 말러와 브람스를

말러의 교향곡은 압도적 에너지를 자랑하며 수많은 클래식 팬의 사랑을 얻었지만 초기 평론가들은 싸늘했다. ‘전통적이지 않은 대편성’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이었다. 요하네스 브람스는 교향곡 1번을 발표하기까지 무려 21년이 걸렸다. 갈 길이 너무 멀어 잠시 쉬어 가고 싶을 때 이들의 노래는 좋은 위로가 될 수 있다.

한경아르떼필 조동균의 ‘아는 클래식 몰랐던 이야기’

들풀과 나무는 사람들 울음소리 들릴까

기발한 식물판타지가 있으니 천선란 작가의 ‘나인’. 손톱 끝에서 식물이 자라고 식물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소녀의 이야기다. 작가는 “8년 전 한적한 공원 벤치에 앉아 목 놓아 울다가 문득 나무와 들풀이 듣고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이 나무는 얼마나 많은 사람의 울음을 들었을까 고민도 했다”는 말을 책에 적었다.

소설 애호가 소심이의 ‘소심이의 참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