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피해자, 현실판 '더글로리' 꿈꾸나…"90% 복수 생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문의 70% 극단적 선택 시도 피해자 진료해
"불안, 우울장애 등 정신장애 동반되기도"
"불안, 우울장애 등 정신장애 동반되기도"
학교폭력 피해자 대부분이 가해자에 대한 복수 계획을 세운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이날 학교 내 정신건강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한국학교 정신건강의학회'가 지난달 전문의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78.5%는 학교폭력 피해자를 진료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 중 90.2%는 학교폭력 가해자를 상대로 복수를 생각하는 피해자를 진료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47.1%는 구체적인 복수계획을 세우는 피해자를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는 전문의는 70%였다. 관련 피해자들은 우울, 불안, 대인기피, 학교거부, 자해 등의 증상을 보였다는 게 전문의의 설명이다.
또한 불면증이나 분조 조절 어려움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의 84.6%는 학교폭력 피해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연관이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PTSD 진단을 받은 3명 중 2명은 불안·우울장애 같은 정신장애가 동반됐다.
전문의 44.6%는 학폭 피해가 '신체화 장애'와도 연관이 있다고 답했다. 신체화 장애는 정신적 고통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배나 머리 등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증상은 치료받으면 호전되지만, 후유증은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당장의 불면증과 우울감 등의 증상은 좋아질 수 있으나, 사람에 대한 불신이나 배신감은 치유가 어렵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문의의 31.4%는 수년 동안 후유증이 지속되는 환자를 진료하고 있었다고 답했다. 62.7%는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후유증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한 전문의는 78.4%로 집계됐다.
한국학교 정신건강 의학회는 "학교폭력 피해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자극에 의해 당시 고통을 생생하게 재경험할 수 있다"며 "정신 건강 전문가의 학교 현장 개입이 용이하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
이날 학교 내 정신건강 문제를 전문으로 다루는 '한국학교 정신건강의학회'가 지난달 전문의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78.5%는 학교폭력 피해자를 진료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들 중 90.2%는 학교폭력 가해자를 상대로 복수를 생각하는 피해자를 진료한 적이 있다고 답했으며, 47.1%는 구체적인 복수계획을 세우는 피해자를 진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는 전문의는 70%였다. 관련 피해자들은 우울, 불안, 대인기피, 학교거부, 자해 등의 증상을 보였다는 게 전문의의 설명이다.
또한 불면증이나 분조 조절 어려움 등을 호소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의 84.6%는 학교폭력 피해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연관이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PTSD 진단을 받은 3명 중 2명은 불안·우울장애 같은 정신장애가 동반됐다.
전문의 44.6%는 학폭 피해가 '신체화 장애'와도 연관이 있다고 답했다. 신체화 장애는 정신적 고통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 배나 머리 등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해지는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증상은 치료받으면 호전되지만, 후유증은 쉽게 치유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당장의 불면증과 우울감 등의 증상은 좋아질 수 있으나, 사람에 대한 불신이나 배신감은 치유가 어렵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전문의의 31.4%는 수년 동안 후유증이 지속되는 환자를 진료하고 있었다고 답했다. 62.7%는 학교폭력 피해자들의 후유증이 성인이 된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문제가 심각하다고 답한 전문의는 78.4%로 집계됐다.
한국학교 정신건강 의학회는 "학교폭력 피해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면 오랜 시간이 지나도 자극에 의해 당시 고통을 생생하게 재경험할 수 있다"며 "정신 건강 전문가의 학교 현장 개입이 용이하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세린 한경닷컴 기자 celin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