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얼굴 근육이 인간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는 표정을 짓기 쉽도록 진화해 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경DB
개의 얼굴 근육이 인간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는 표정을 짓기 쉽도록 진화해 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경DB
개의 얼굴 근육이 인간에게 매력적으로 보이는 표정을 짓기 쉽도록 진화해 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듀케인대학 생물인류학자 앤 버로우스 교수와 동물생리학자 케일리 옴스테드 교수팀은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2022년 실험생물학 총회'에서 개 얼굴 근육의 66∼95%가 수축이 빨라 즉각적인 표정 변화에 유리한 속근(fast-twitch muscl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6일 미국 NBC 뉴스는 "늑대는 얼굴 근육에서 속근이 차지하는 비율이 평균 25% 정도이고 나머지는 수축이 느린 지근(slow-twitch muscle)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면서 "개의 얼굴 근육이 늑대와는 다르게 진화해 왔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앞서 수년 전 개의 눈 윗부분에 눈이 커 보이게 할 수 있는 근육이 발달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근육을 이용해 사랑스럽고 순진해 보이는 강아지 표정을 만들어낸다고 밝힌 바 있다.

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이 같은 근육 변화는 개의 얼굴이 인간과 관계를 개선하는 데 유리하도록 해부학적으로 진화해 왔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얼굴 근육에서 속근 비율이 월등히 높은 개는 늑대보다 자신들의 감정을 주인에게 전달하는 데 더 효율적이었고, 개를 길들이던 시기 인류의 조상이 이런 이유로 개를 선호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사람의 얼굴 근육도 속근 비율이 월등히 높아 생각이나 감정을 표정에 바로 표현할 수 있는 것과 관련, 이 연구에서 밝혀진 개 얼굴 근육의 속근 비율은 적어도 얼굴 근육 면에서 개는 늑대보다 사람에 더 가깝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버로우스 교수는 "4만여년 전 인류의 조상이 개를 길들이면서 사람에게 가장 반응을 잘하는 것으로 보이는 개를 선택한 결과일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개는 점점 더 빠르게 표정을 지을 수 있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얼굴 근육 변화가 길들여진 동물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길들여진 말·고양이의 얼굴 근육은 야생 말·고양이와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개와 늑대만큼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