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동참모본부가 5일 동부전선 최전방 지역에서 발생한 탈북민 김모씨 월북사건에 관한 군 당국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민간인출입통제선 인근 폐쇄회로(CC)TV 카메라에 모습이 찍힌 김모씨의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뉴스1
합동참모본부가 5일 동부전선 최전방 지역에서 발생한 탈북민 김모씨 월북사건에 관한 군 당국 현장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민간인출입통제선 인근 폐쇄회로(CC)TV 카메라에 모습이 찍힌 김모씨의 모습을 공개했다. /사진=뉴스1
군이 지난 1일 탈북민의 월북을 폐쇄회로TV(CCTV)로 다섯 차례나 포착하고도 이를 막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월책 이후 3시간이 지나서야 시작된 작전은 월북이 아닌 ‘귀순’을 염두에 두고 이뤄졌다. 특히 군이 월북을 미리 포착하지 못한 이유로 CCTV의 시간 설정이 실제 시간과 4분 가량 차이났다는 황당한 이유까지 들고 나오며 군의 경계 실패에 대한 책임론이 거세질 전망이다.

합동참모본부는 5일 서울 용산동 국방부청사에서 월북한 탈북민 김모씨(30)에 대한 전비태세검열실의 검열 결과를 발표했다. 합참에 따르면 김씨가 지난 1일 오후 6시36분께 육군 22사단 일반전초(GOP) 남측 철책을 넘는 장면은 CCTV 3대에 모두 다섯 차례 포착됐지만 GOP 감시병은 실시간 CCTV 영상에서도 이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다. 소대장을 포함해 병력 6명이 김씨가 GOP 철책을 넘는 과정에서 광망(철조망 감시센서)이 작동해 경고음이 울린 직후 출동했음에도 이들은 현장에서 ‘특이사항이 없다’고 판단했다.
 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전동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철책 월북 사건' 초동 조치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전동진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이 '철책 월북 사건' 초동 조치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군은 해당 부대가 차후에 CCTV를 돌려보는 과정에서도 김씨의 월책 장면을 포착하지 못한 이유로는 “실제 시간과 서버에 저장된 시간이 4분 가량 차이가 있어서”라고 설명했다. 김씨의 월책 시간은 6시36분이었지만 해당 CCTV 영상이 6시40분으로 기록돼 있어 놓쳤다는 황당한 주장이다. 합참 관계자는 “영상 저장 장치의 시간을 실제 시간과 동기화를 했어야 하는데 못 했다”며 “녹화된 영상을 확인할 때는 발생 시점으로부터 과거 영상을 확인하는데 저장 장치 시간 설정이 실제 시간보다 빨랐다”고 말했다. 해당 대대의 지휘통제실장은 영상을 확인하고 자체적으로 상황을 종료한 뒤 상급 부대와 대대장에게는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 광망이 작동했을 경우 반드시 상부에 보고하도록 한 매뉴얼을 어긴 것이다.

군이 작전병력을 투입한 것은 김씨가 철책을 넘은지 3시간 뒤인 오후 9시17분께 열상감시장비(TOD)로 비무장지대(DMZ)내에서 이동중이던 김씨를 발견하고 나서였다. 하지만 현장 대대장은 그마저도 김씨가 월북이 아닌 귀순을 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합참 관계자는 “초기에 작전을 실시할 때 최초 식별된 위치, 해당 지역 지형 등을 보고 판단했을 때 귀순 가능성을 염두에 뒀다”며 “이격거리 등으로 인해 미상인원과 접촉 및 차단이 제한됐다”고 설명했다. 월책으로부터 3시간이 지난 뒤에야 시작된 작전은 귀순을 염두에 뒀고, 결국 김씨가 이미 너무 멀리 간 뒤라 잡지 못했다는 설명이다.

김씨가 2020년 11월 ‘월책 귀순’할 당시 “경계 실패는 아니다”며 “과학화 감시시스템이 미흡했다”고 했던 군은 이번에는 머리를 숙였다. 전동진 합참 작전본부장은 “동부전선에서 발생한 월북상황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보완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