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민주당의 '블루 웨이브' 영향으로 급속도로 올랐던 시장 금리가 안정을 찾고 있습니다. 뉴욕 증시도 마찬가지입니다. 13일(미 현지시간) 주요 지수는 보합권에서 소폭 등락하다가 다우는 0.03% 내린 채로 마감됐고 S&P 500 지수는 0.23%, 나스닥은 0.43% 상승했습니다.
이날 미 국채 10년물 수익률(금리)는 연 1.08% 선까지 떨어졌습니다. 이렇게 금리가 안정을 찾은 건 세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13.1.jpg)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시장 예상에 부합했습니다. 완만하게 상승하는 수준을 이어간 겁니다. C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로는 1.4% 상승했고 음식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1%, 전년 대비 1.6% 오른 것으로 나왔습니다. 근원 CPI 상승률은 11월 0.2%보다 상승 폭이 더 낮아졌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0.1.jpg)
② 1% 초반대 강한 채권 매수 수요
전날 10년물에 이어 이날 재무부가 실시한 240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미 국채 30년물 입찰도 연 1.82% 수준에서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입찰율도 2.34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이런 수준의 금리에서는 미 국채에 대한 수요가 상당하다는 걸 보여준 겁니다. 그만큼 시장에 많은 돈이 풀려있기 때문이겠죠.
③ Fed의 비둘기들
미 중앙은행(Fed) 인사들에게서도 계속적으로 '비둘기파'적인 언급이 나왔습니다. 리처드 클라이다 Fed 부의장은 이날 "2% 수준 인플레이션이 '1년간' 나타날 때(until we get inflation at 2% for a year)까지 우리는 우리 손을 묶으려한다. 우리는 그 때까지 금리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해왔다"고 밝혔습니다. 2% 금리를 감내하는 기간을 이전까지는 '상당한 기간'이라고만 했었는데 아예 '1년간'으로 구체적으로 못 박은 겁니다.
또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연방은행 총재는 "물가 인상에 테이퍼링(양적완화 차원에서 매월 사들이고 있는 채권 매입 금액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으로 선제적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말했고, 라엘 브레이너드 Fed 이사는 "현재 채권 매입 속도는 ‘꽤 오랫동안’ 유지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이걸로 끝난 건 아닙니다. 지켜봐야할 게 더 있습니다.
일단 14일 오후 12시30분(한국 시간 15일 새벽 2시30분) 제롬 파월 의장이 토론에 나섭니다. 월가에서는 파월 의장이 테이퍼링 시기 등에 대한 시장 일각의 우려를 깔끔하게 해소해주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월가 관계자는 "파월 의장이 올 하반기에 테이퍼링이 없음을 명확히 밝힌다면 금리가 추가 하락할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32.1.jpg)
만약 논란이 있는 학자금 탕감 방안 등을 포함하는 수조 달러에 달하는 부양안이 공개될 경우 의회 통과 과정에서 민주당과 공화당 간의 대결은 불가피합니다. 정권 초기부터 양당 간 협력은 물 건너갈 수 있습니다. 부양책의 경우 단순 과반수로 통과시킬 수 있다고 해도 이는 향후 인프라딜 통과 등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몇 달 뒤이긴 하지만 오는 4~5월부터 본격적으로 살아날 물가입니다. 워낙 지난해 유가가 폭락했던 탓에 모두가 올 봄 물가가 치솟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캐피털이코노믹스(CE)는 이날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초기의 일시적 물가 붕괴에 따른 기저효과로 인해 올 봄에는 헤드라인 물가와 근원 물가 모두 2%를 넘을 것이다. 심지어 물가가 3%에 이를 수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1.1.jpg)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898.1.jpg)
오는 15일부터는 이제 4분기 어닝시즌이 본격화됩니다. 항상 그랬듯 금융주가 선봉에 섭니다. JP모간과 웰스파고, 씨티그룹이 15일 증시 개막 전에 실적을 내놓습니다.
다만 투자자들의 관심은 떨어집니다. 이는 이번 어닝시즌이 특별한 가이던스를 주지 못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4분기 실적 자체는 좋을 게 없을 겁니다. 코로나 재확산으로 곳곳에서 봉쇄가 이뤄졌기 때문입니다.
팩트셋에 따르면 4분기 S&P 500 기업들의 주당순이익(EPS)은 전년 동기에 비해 8.8%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만약 맞는다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분기 이후 세 번째로 나쁜 분기가 될 것입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3.1.jpg)
이날 공개된 Fed의 베이지북(경기동향보고서)에서도 이런 상황은 잘 드러납니다. Fed는 베이지북에서 "대부분 지역에서 경제 활동이 '완만하게(modestly)' 확장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2월 "경제가 '완만한 혹은 보통(modest or moderate)' 수준으로 확장했다"고 기술한 것보다 후퇴한 표현입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899.1.jpg)
이날은 전날 떨어졌던 기술주, 성장주가 다시 반등하고 가치주가 주춤하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리플레이션 트레이드가 주춤한 것이죠.
월가 관계자는 "자세히 보면 애플 등 기술주는 올랐다가 내렸다가 하면서 작년 9월 이후 거의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지만, JP모간 등 가치주는 오르다 멈췄다가 하면서 계속 상승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5.1.jpg)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6.1.jpg)
월가의 가치주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날 JP모간은 엑슨모빌에 대한 투자등급을 7년 만에 처음 '비중 확대'(overweight)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목표주가도 50달러에서 56달러로 높였습니다. 비용 절감과 유가 상승 등으로 향후 실적이 개선되면서 일관성 있는 배당이 가능할 것이란 이유에서입니다.
엑슨모빌에 대해선 전날 모건스탠리도 '비중 확대' 의견을 제시했으며 골드만삭스와 웰스파고는 지난달 긍정적 분석을 내놓았었습니다. 엑슨모빌의 주가는 올 들어 벌써 17%나 뛰어 7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04.1.jpg)
!["지니(인플레)는 아직 병속에 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https://img.hankyung.com/photo/202101/01.25000941.1.jpg)
-
기사 스크랩
-
공유
-
프린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