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에도 ‘미국의 중국 압박에 협조하지 말라’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기업들이 미·중 갈등의 유탄을 맞을 것이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상무부, 산업정보기술부는 지난 4~5일 주요 글로벌 기술기업들을 불러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중국과의 거래 금지 조치에 협조하면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 표준적인 다각화 차원을 넘어서는 생산기지 해외 이전도 응징하겠다고 압박했다.

중국이 부른 기업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MS)와 델,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ARM 등이 포함됐다고 NYT는 전했다. NYT는 “중국 정부가 화웨이를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지만 화웨이에 대한 지지를 모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한국에 ‘반(反)화웨이 전선’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는 가운데 중국이 ‘반화웨이 전선에 동참하면 가만두지 않겠다’고 압박하면서 한국 기업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빠졌다.

중국 정부는 미국 기업에 대해선 중국과의 거래를 제한하면 ‘영구적인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중국 압박에 반대하는 미국 내 로비 활동을 부추긴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을 제외한 제3국 기업에는 중국 기업에 대한 공급을 정상적으로 지속하면 불리한 상황에 직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SK '10조 매출' 날아갈 판인데…'美·中 협박' 불구경하는 정부
中의 협박 "삼성·SK, 美에 협조 말라"
미국과 중국 간 무역분쟁이 격화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고래 싸움에 새우’ 신세로 내몰리고 있다. 지난 5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가 한·미 동맹을 거론하며 “반(反)화웨이 기조에 동참하라”고 요구한 그 시점에 중국 정부도 삼성전자 등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을 불러 ‘반화웨이’에 협조하지 말 것을 압박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4~5일 삼성 등에 “미국 정부에 협조할 땐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뉴욕타임스가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업계는 비상사태를 선언하고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국제 정세의 거대한 소용돌이 안에서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청와대와 외교부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할 문제”라며 선을 긋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경제적 보복’까지 시사하는 미·중 사이에서 ‘제2의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사태’의 희생양이 되는 건 아닌지 노심초사하고 있다.
中의 협박 "삼성·SK, 美에 협조 말라"
샌드위치 신세 된 韓 기업들

한국 기업의 상황은 복잡하게 얽혀 있다. 중국 화웨이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으로부터 반도체 등 부품을 대거 사들이는 ‘큰손’이다. 이와 동시에 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사에는 이동통신 장비를 납품하는 핵심 공급처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중국에서 각각 전체 매출의 18%와 39%를 벌어들였다. 이 가운데 가장 큰 고객이 화웨이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두 회사가 화웨이를 상대로 올린 매출은 각각 5조원에 달했다.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부품 공급을 막을 경우 10조원가량의 매출이 날아갈 판이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1일 김기남 부회장과 진교영 사장 등 반도체 사업을 총괄하는 임원을 불러 긴급회의를 연 이유다. 삼성전자 경영진은 미국 정부가 반화웨이 압박 수위를 지속적으로 높이는 상황에서 삼성전자에 미칠 영향을 시나리오별로 따져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뚜렷한 해답을 찾지 못했다는 후문이다. 중국 편에 서면 미국 정부가 삼성전자에 대한 구글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나 퀄컴의 통신용 반도체 공급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미국 쪽에 서면 2년 전 사드 보복 사태 때 ‘롯데 처지’가 재연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한 반도체 회사 관계자는 “반도체 시황이 요동치면서 월 단위로 경영계획을 수정하고 있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 ‘컨틴전시 플랜(비상 계획)’을 짜고 있지만 뾰족한 방안이 없어 고민”이라고 말했다.

정부 컨트롤타워도 부재

화웨이 무선 네트워크 장비를 쓰는 LG유플러스의 고심도 깊어지고 있다. 해리스 대사가 비공개 간담회에서 화웨이 장비를 쓰는 LG유플러스를 콕 집어 ‘안보 위협’ 대상으로 거론하면서다. LG유플러스는 이미 5세대(5G) 네트워크 장비에 수천억원을 투자했다. 현재 화웨이와 삼성전자, 노키아, 에릭슨 4개 회사로부터 장비를 공급받고 있다. 이 중 화웨이 장비가 들어가는 지역은 LTE 도입 때부터 화웨이 부품을 쓰던 수도권이다. 기존 LTE 장비와의 호환성 때문이다. LG유플러스는 가격 경쟁력과 기술 격차 등을 이유로 LTE 도입 때부터 화웨이 장비를 써 왔다.

5G 설치 초기 단계인 현재 통신사들은 LTE와 5G 장비를 결합한 ‘논스탠드얼론(NSA)’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LG유플러스가 수도권 지역 5G 장비 공급 업체를 다른 업체로 바꾸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뜻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LTE 장비에 다른 공급자의 5G 장비를 결합하는 건 기술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유선 통신장비를 사용하는 기업에까지 압박이 가해진다면 문제는 IT업계 전반으로 확대된다. LG유플러스뿐 아니라 SK텔레콤과 KT도 광케이블 같은 유선 장비 일부에 화웨이 제품을 쓰고 있다. 네이버, 한국전력, 농협 등 일반 기업도 내부 유선망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 기업이 진퇴양난의 상황에 놓였지만 정부는 구체적인 대응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 통상 관계자들은 북유럽 순방을 위한 비행편에 올랐다. 외교부는 “기업 간 의사결정에 정부가 일일이 개입할 수는 없다”며 한 발 빼는 모양새다.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한국 기업 압박 보도와 관련해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다”는 원론적인 답변을 내놨다.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해 외교부 내 미·중 전담 태스크포스(TF)를 신설하겠다고 했지만 조직 구성조차 아직이다.

안덕근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는 “정부가 나서서 ‘어느 편에 서겠다’고 입장을 밝힐 경우 제2의 사드 사태를 불러올 위험이 있다”며 “국제 통상질서를 저해하는 행위에는 동의할 수 없다는 원칙을 양국에 명확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워싱턴=주용석 특파원/고재연/홍윤정/임락근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