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상옥 네이버랩스 로보틱스 리더가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데뷰2017'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네이버 제공
석상옥 네이버랩스 로보틱스 리더가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데뷰2017'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 사진=네이버 제공
"로봇은 공간과 공간을 열결하는 역할을 한다. 공간 정보를 다루는 데 익숙한 네이버가 로봇을 연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석상옥 네이버랩스 로보틱스 리더(사진)는 16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개발자 콘퍼런스 '데뷰(DEVEIW)2017'에서 네이버랩스의 로봇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석 리더는 "로봇은 이동성이 있다. 저 역시 그동안 주로 이동하는 로봇을 많이 만들어왔다"며 "네이버가 공간 정보를 연결하는 과정에서 로봇을 연구하는 일은 자연스러운 흐름"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MIT에서는 지렁이 모양의 소프트 로봇 '메시웜', 달리는 로봇 'MIT 치타' 등을 개발해 업계의 주목을 받았다.

네이버의 기술 연구개발(R&D) 자회사 네이버랩스는 생활환경지능의 고도화를 위해 공간과 이동에 대한 연구를 이어오고 있다. 생활환경지능은 일상생활에서 인공지능(AI)이 사람과 상황을 인지하고 이해해 사람에게 필요한 정보나 행동을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이같은 환경 구현의 핵심이 로봇 기술과 공간의 정보화라는 설명이다.
16일 '네이버 데뷰2017'에서 네이버랩스가 공개한 실내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어라운드' . / 사진=네이버 제공
16일 '네이버 데뷰2017'에서 네이버랩스가 공개한 실내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어라운드' . / 사진=네이버 제공
◆1년 만에 로봇 9종 확대…근거리 이동수단도

석 리더가 이끌고 있는 네이버랩스 로보틱스 그룹은 2015년 9월 출범했다. 지난해 데뷰에서 3차원(3D) 실내지도 제작 로봇 'M1'을 처음 발표했다. 이날 네이버랩스가 공개한 로봇은 총 9종으로, 불과 1년 만에 로봇 라인업을 대폭 확장해 눈길을 끌었다.

올해 행사에서 네이버랩스가 소개한 로봇은 △실내자율 주행 서비스 로봇 '어라운드' △전동카트 '에어카트' △계단을 올라가는 바퀴 달린 로봇 '터스크봇' △물체 인식 및 자율주행 로봇 'TT-bot' △MIT, UIUC와 각각 산합협력 중인 '치타로봇' '점핑 로봇' 등이다.

석 리더는 "시기상조일 수 있지만 네이버랩스는 전동 스케이트보드 '퍼스널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처럼 근거리 이동수단까지 연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이날 네이버랩스가 선보인 로봇들은 대부분 이동에 특화된 '움직이는 로봇'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어라운드'는 서점을 돌아다니며 고객들이 읽은 책을 수거해 제대로된 위치에 가져다 놓는다. 세계 최초의 4륜 밸런싱 전동 스케이트보드 '퍼스널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는 사람이 단순히 몸을 기울이는 것만으로 속도와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지난해 데뷰에서 공개된 네이버랩스의 첫 로봇 M1 역시 실내 이동과 공간 인식 기술 등을 핵심 기술로 두고 있다. M1은 위성위치추적(GPS)이 잡히지 않는 실내공간을 스스로 이동하며 공간을 파악하고 3D 지도를 만들 수 있다.
인간의 팔과 유사하게 구현한 로봇팔 앰비덱스. / 사진=네이버 제공
인간의 팔과 유사하게 구현한 로봇팔 앰비덱스. / 사진=네이버 제공
◆위치 넘어 힘 제어하는 로봇으로 진화

네이버랩스는 궁극적으로 이동을 넘어 사람의 노동까지 도와줄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석 리더는 "위치 제어 기반의 로봇 개발이 가까운 미래의 문제를 푸는 일이라면, 힘 제어 기반의 로봇은 조금 더 먼 미래를 보고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맥락에서 개발 중인 로봇 분야로는 로봇팔을 꼽았다. 네이버랩스는 그동안 산업용으로 쓰여온 로봇팔을 일상으로 확대하기 위해 사람 팔보다 가볍고, 사람과 접촉해도 안전한 로봇팔 '앰비덱스(AMBIDEX)'를 개발했다. 인간의 팔과 유사한 관절구조를 가진 이 로봇팔은 코리아텍 김용재 교수와 산합협력을 통해 제작됐다.

네이버랩스 측은 앰비덱스가 요리나 청소 빨래 서빙 간병 재활 등 일상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석 리더는 "로봇팔은 로봇 공학의 궁극적인 목표"라며 "더 가볍고 안전하고 정밀도까지 높은 로봇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로봇 상용화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 조직만 있고 사업부는 없는 상태"라며 "로보틱스 기술로 일상의 문제를 풀고자 노력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상용화로 연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희진 한경닷컴 기자 hotimpac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