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움직임을 영상으로 잡아낸 문자회화
뉴욕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하는 한무권 씨(46·사진)는 현대인의 다양한 삶의 방식을 인문학적 사유로 풀어내는 ‘뉴 미디어아티스트’로 불린다. 동국대 미대를 나와 뉴욕 스쿨오브비주얼아트 대학원에서 수학한 그는 첨단 영상과 회화의 경계를 넘나들며 두 장르의 융합을 지향하고 있다. 어린 시절 배운 서예에 뿌리를 두고 동양적인 미감을 영상기법으로 표현한다. 그는 서울문화재단, 뉴욕예술재단, 로우어 맨해튼문화위원회의 지원을 받을 정도로 국내외 화단에서 입지를 다졌다.

한씨가 오는 26일까지 서울 사간동 금호미술관에서 여는 개인전은 구체적인 사물을 표현하기보다는 신체와 사물의 움직임을 특수영상기법으로 잡아내 ‘문자 회화’로 보여주는 이색적인 전시회다. 드로잉, 사진, 설치작품 등 29점을 내놨다. 전시회의 주제는 ‘피스톤’. 그는 “육중한 기계처럼 빠르게 움직이는 현대사회 속에는 섬세한 색이나 문자, 글 같은 사유의 도구가 동시에 자리잡고 있다고 생각해 전시 제목을 ‘피스톤’으로 붙였다”고 했다.

작가는 장소, 기억, 존재, 소통과 같은 인생의 소중한 가치들을 마치 호주머니에서 메모장을 꺼내듯 보여주고 있다. 대형 피스톤 여섯 대로 구성된 설치 작품 ‘피스톤’은 현대인의 소통에 관해 묻는다. 피스톤의 움직임을 저속 촬영해 정상 속도보다 빨리 돌려 문자를 만들어내 불통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한씨는 “붓과 손으로 종이에 글을 쓰거나 컴퓨터로 자판을 두드리는 오랜 소통방식에서 벗어나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풀어낸 글자를 통해 소통의 가능성을 확장했다”고 설명했다.

‘피스톤’과 함께 눈길을 끄는 작품은 작은 모니터를 통해 상영되는 ‘요새’. 뉴욕 맨해튼에 있는 작은 군사시설을 찾아가 촬영한 약 8분50초짜리 영상작품이다. 전쟁의 잔해가 남겨진 고즈넉한 풍경을 바탕으로 ‘도시는 반복된 사각 유리에 접혀 있다’, ‘엔진 소리가 조용한 목소리를 덮는다’ 등과 같은 시적 상상력을 가미해 영상미학으로 연출했다. 젊은 시절 흑백 필름에서 지워지지 않은 기억들을 철학적 사고로 변환시킨 풍경은 마치 사진예술처럼 다가온다.

크레인에 대형 붓을 걸고 허공에 그린 이미지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알고리즘, 인문학과 기계공학의 접목을 꾀한 비디오 영상, 활짝 핀 꽃을 카메라 렌즈로 잡아낸 사진 작품도 눈길을 끈다.

작가는 “숨가쁘게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내 작품을 감상하며 복잡한 일상에서 한걸음 뒤로 물러서서 스스로의 삶을 응시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02)720-5114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