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이 6.2 지방선거의 승부수로 던졌던 선거연합이 20일 사실상 무산되면서 민주당 등 야권 전체의 선거 전략이 중대한 차질을 빚게됐다.

'정권 심판론'을 기치로 후보 단일화를 성사시켜 한나라당과 일대일 대결구도를 구축, 최대 격전지이자 승부처인 수도권 `빅3'를 탈환하겠다는 구상 자체가 뿌리째 흔들리게 됐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경기지사 선거전에 비상이 걸렸다.

경기의 경우 한나라당 김문수 지사의 독주 양상이 굳건해 그를 꺾기 위해서는 야권의 후보단일화가 선결요건으로 꼽혀왔지만 민주당 김진표-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는 단일화 방식을 놓고 맞서다 결국 연대를 이뤄내는데 실패했다.

이로써 두 후보는 당분간 각자의 길을 모색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고, 선거 가도에는 적신호가 켜졌다는게 대체적 관측이다.

특히 경기지사 선거는 경기지역 기초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 뿐 아니라 서울시장과 인천시장 등 수도권 선거판 전체에 파급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어서 부정적 여파는 확산될 전망이다.

당초 야권은 유력한 서울시장 후보로 거론되는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1심 무죄 판결에 경기지사 단일화가 상승효과를 일으킬 경우 수도권 전체 판세를 뒤집을 수 있다는 표계산을 해왔다.

또 노무현 전 대통령의 1주기(5월23일)까지 맞물리면서 이른바 `노풍'(盧風)이 일면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를 별러온 전통적 지지층의 결속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해왔다.

하지만 이처럼 야권이 분열 양상을 보임에 따라 무엇보다 '정권 심판론'의 동력과 명분이 급속히 약해질 수 밖에 없고, '노무현.한명숙 바람'도 그저 '찻잔 속의 태풍'에 그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다.

다만 야권내 제정파가 후보단일화 실패시의 부담이 만만치않아 연대논의가 재개될 가능성은 남아있다.

논의가 어느정도 진전된 인천과 대전, 울산, 부산 등은 협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경기지사의 경우 며칠의 냉각기를 거쳐 정당 또는 후보간 협상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