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양대 대선주자인 박근혜(朴槿惠) 전 대표와 이명박(李明博) 전 서울시장간 `경선 룰' 다툼이 연일 위험수위를 넘나들고 있다.

양측은 "판이 깨지더라도 경선 룰 만큼은 절대 양보하지 않겠다"며 `일전'을 불사할 태세여서 양측간 경선 룰 공방은 단순한 기싸움을 넘어 사활을 건 대결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특히 일반 의원들은 물론 최고지도부 내에서 조차 4.25 재보선 참패 및 `박-이 분열상'에 대한 지도부 책임론이 다시 제기되면서 당이 언제든 또 분열의 회오리 속으로 빨려들어갈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일각에선 이미 "분열의 도화선이 타오르기 시작했다"는 얘기마저 들린다.

박 전 대표와 이 전 시장측은 7일에도 경선 룰 문제를 놓고 대충돌했다.

자극적이고 감정 섞인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이 전 시장측은 경선 룰과 관련해 자신이 세 번 양보했다는 박 전 대표의 전날 발언을 집중 공격했다.

박형준 의원은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박 전 대표가 어제 `경선 룰과 관련해 세 번 양보했다'고 주장했는데 사실과 다르다.

도저히 그 말을 이해할 수 없다"면서 "`8월-20만명' 경선 룰에 대해선 부분합의만 됐지 세부적인 여론조사 부분은 합의가 안됐고 현재 논의 중인 사안"이라고 말했다.

진수희 의원도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박 전 대표가 세 번 양보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이며 제왕적 총재적 발상이다.

많은 사람들이 황당해 했다"고 꼬집었고, 조해진 공보특보는 "박 전 대표측에서 `여론조사 반영 방식에 이미 합의가 됐는데 우리가 뒤늦게 합의원칙을 깨려고 한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이는 여론 호도이자 부당한 선동"이라고 일축했다.

박 전 대표측은 `세 번 양보' 주장을 거듭 펼치며 반격에 나섰다.

최경환 의원은 "박 전 대표가 당 혁신안 만들 때, 혁신안 부분수정 논란 때, 8월-20만명 경선 룰 확정 때 총 세번 양보를 했다"고 거듭 강조하면서 "지난번 논의 때 여론조사 부분도 의심의 여지 없이 합의사실로 받아들여 놓고 이제 와서 불리할 것 같으니까 바꾸자는 게 말이 되느냐"고 비판했다.

이정현 공보특보는 "온 몸을 던져 당 개혁을 주장했던 박 전 대표와 달리 이 전 시장을 포함한 그 내부에 있는 사람들은 당시 그런 노력을 한 흔적이 없다"면서 "그래놓고 이제 와서 개혁을 빌미로 자신들에게 유리한 규정만 개정하자는 것은 염치없는 행동"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 전 시장측 정두언 의원을 겨냥, "박 전 대표가 과거에 국민참여 75% 참여 보장을 주장하며 탈당했었다고 하는데 이는 완전 매터도 수준"이라고 일갈했다.

이날 오전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도 경선 룰 논란이 이어졌다.

대부분 최고위원들은 `당 중심'을 강조했지만 일부는 지도부 책임론을 공개 제기하는 등 분열상도 여과없이 노출했다.

강 대표는 중재안과 관련, "제 정치인생 모두를 걸고 정말 대의명분에 맞는 안을 제시한 뒤 최고위원들과 상의하겠다"면서 "당 화합을 위해 그때까지 말을 아껴줬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정형근 최고위원은 "경선 룰을 논의할 때 애초부터 대선주자를 참여시키는 게 아니었다.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다"면서 "후보선출 방식을 갖고 주자들이 외나무 다리 위에서 염소처럼 싸우면 누가 좋아하겠느냐"며 양 대선주자를 싸잡아 비판했다.

그러나 김형오 원내대표가 지도부 책임론을 거듭 제기했다.

그는 "재보선 참패에 대해서는 지도부 전체가 책임져야 할 사안이다.

최고지도부 일원으로서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는 게 국민과 당원에 대한 도리"라면서 "경선 룰이 매듭지어지면 원내대표직을 사임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사실상 강 대표의 사퇴를 우회적으로 압박하는 것이어서 제2의 지도부 총사퇴 논란이 재연되면서 당이 또다시 혼란과 분열의 소용돌이에 휩싸일 공산이 커 보인다.

김 원내대표는 회의 후 기자회견에서도 "강 대표가 최종 중재안을 만들지 말고 전국위원회에서 결정토록 해야 한다"면서 "박 전 대표 안과 이 전 시장 안에다 나머지 검토가능한 3가지 안에 대해 투표를 하던지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당 줄서기 반대 의원모임인 희망모임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당의 분열이 대선 패배를 가져올 수 있는 상황으로 이어지는 불행한 사태를 막기 위해 5월 중 후보등록을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 탈당 후 독자출마를 방지하기 위한 조기 후보등록 필요성을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