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분기 성장률이 2.7%로 추락한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경기 회복을 위한 특단의 경기 회생 대책이 필요한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저금리를 유지하면서 재정을 조기 집행하고,민간자본 유치를 통한 종합투자계획을 실행하는 등의 기존 대책 외엔 별다른 경기 회생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경기 활성화의 방법은 먼 데서 찾을 게 아니라,가까운 곳에서 찾으라'고 조언한다. 기왕에 벌였다가 중단된 대형 국책사업을 서둘러 다시 시작하고,기업들의 투자 수요가 있는 수도권의 공장 입지 규제 등을 과감히 푸는 것이 경기 활성화의 촉매제가 될 것이란 지적이다. --------------------------------------------------------- 지난해 여행·유학·자본 이전 등으로 해외로 빠져나간 개인 돈은 모두 206억7000만달러(약 26조원)에 달했다. 700조~800조원으로 추산되는 국내총생산(GDP)의 3% 수준이다. 구체적으론 △일반 여행 95억달러 △유학.연수 24억9000만달러 △증여성 송금 68억7000만달러 △기타 자본 이전 18억1000만달러 등이다.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이 가운데 레저 교육 의료 등과 관련된 해외 지출이 약 120억달러(12조원)로 전체의 58%를 차지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해외 소비성 지출이 GDP의 1.5%를 웃돈다"며 "해외 지출자금 중 3분의 2 정도가 국내에서 소비될 경우 GDP가 1%포인트가량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의료 교육 금융 등 국내 서비스 시장이 고급 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데다 반(反)부자 정서가 심해지면서 부유층이 해외에 나가서 돈을 쓰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레저 교육 의료부문의 국내 고급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한편 적극적인 일자리 대책으로 중산층과 서민층의 불안감을 덜어줘야 한다는 진단이다. 이언오 삼성경제연구소 전무는 "막대한 해외 소비를 국내로 끌어들이는 한편 내부적으로 얼어붙은 소비 심리를 녹일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차병석·김혜수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