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조(전공노. 위원장 김영길)가 15일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으나 파업 포기 지부가 속출해 울산과 강원 등 일부 지역에 국한된 국지적인 파업에 그쳤다. 이 때문에 우려했던 민원처리 지연 등에 따른 행정 공백 현상은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없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전공노가 총파업에 가담해 파면, 해직 등 중징계 대상이 되는 공무원의수가 전교조의 해직 파동 이후 사상최대인 3천200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돼 상당기간후유증이 우려된다. 한편 전공노는 이날 파업에 77개 지부에서 4만4천309명이 참가했다고 밝혔다. ◆사상최대 공무원 해직사태 불가피 이번 전공노 총파업으로 인해 지난 89년 1천500여명이 해직된 전교조 사태 이후사상 최대의 공무원 해직사태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전국 지방자치단체와 중앙부처에 정상 출근시간인 오전 9시까지 근무지에 나오지 않아 중징계 대상이 되는 공무원 수가 지방공무원 3천288명,국가 공무원 6명 등 3천294명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행자부는 이들 징계 대상자에 대해 곧바로 직위해제 절차를 밟은 뒤 3∼4일내에 해당 자치단체별로 징계위원회를 열어 중징계를 하도록 요청할 방침이다. 시도별 징계 대상자를 보면 울산이 1천137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강원 1천85명, 인천 412명, 전남 188명, 충북 168명 등 순이었다. ◆부산 등 대부분 지역 파업 '무산' 부산지역 전공노 지부중 강성으로 분류되는 부산영도구청 지부가 이날 오전 8시30분, 구청사 앞광장에서 100여명의 조합원들이 모인 가운데 '노조원들의 희생을 막기 위해 부득이 업무복귀를 선언한다"고 밝히는 등 파업 포기가 잇따랐다. 이 때문에 부산지역은 18개 지부중 13개가 업무복귀를 선언했고 부산시 등 5개지부도 파업철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내부적으로 파업철회를 결정, 조합원들이 전원 정상 근무해 사실상 이 지역에서는 파업이 무산된 상태다. 경남지역도 진주시 지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부는 모두 정상근무를 하고 있고 파업참가자의 수도 55명 수준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1만2천여명이 전공노 조합원이 있는 대구와 경북지역에서도 파업 참가자가 6개기관 26명으로 집계돼 파업이 사실상 무산됐다. 제주도도 지도부 5명만 파업에 참여하는 데 그친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전남지역에서는 전공노 전남본부 강진지부만 유일하게 집회와 함께 파업을강행했고 나머지 모든 지자체에서는 정상업무가 이뤄졌다. 광주.전남 지역도 21개 시군구 가운데 사실상 모든 지자체에서 정상 업무가 이뤄졌고 강진군만 파업에 참여했다. 이와 함께 경기지역도 17개 지부에서 103명이 출근을 거부했으나 오후 들면서 자치단체의 복무감독 강화와 경찰의 강력한 사법조치 경고 등으로 인해 출근거부자는 99명으로 감소한 상태다. ◆울산.강원.인천 등 파업 강행 하지만 민주노동당 소속 구청장이 있거나 민주노총의 지지기반이 상대적으로 강한 울산과 강원, 인천지역에서는 높은 파업 참가율을 기록하면서 파업을 강행했다. 특히 울산은 지역의 7개 전공노 지부 가운데 북구청과 동구청, 중구청, 남구청에서 모두 1천137명이 파업해 4곳 평균 65%의 높은 파업률을 기록했다. 이는 북구와 동구청에서 민노당 소속 구청장이 노조의 활동을 사실상 인정해온데다 매년 되풀이된 지역 대기업 근로자들의 임단협 파업투쟁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북구는 공무원노조 결성이 구체화된 2002년초 당시 조승수 구청장이 "공무원노조를 지지한다"고 밝혔고 뒤를 이은 이상범 구청장도 민주노동당 출신으로 정부의노조 탄압을 비판해 왔다. 같은 당 소속의 이갑용 동구청장도 2002년 정부의 불허 방침에도 공무원노조의서울 집회에 참가하려는 직원들에게 연가를 허가해 주는 등 정부 방침과 달리 노조를 두둔해 왔다. 강원도는 오후 들면서 업무 복귀자가 늘고는 있으나 오전 9시 현재 출근하지 않았던 공무원은 1천95명이나 됐고 특히 원주시와 동해시, 삼척시의 파업률이 높았다. 원주의 경우 도내 기초단체 가운데 공무원노조가 처음으로 결성된 데다 만도기계 등 지역에 있는 민주노총 산하 노조의 측면지원, 활성화돼있는 시민사회단체의활동도 파업률을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됐다. 인천도 항만노조 등 오래전부터 활동해온 지역 강성노조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 관계자는 "파업률이 높은 것은 일부 자치단체에서 노조활동을 두둔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처했고 되풀이되고 있는 기업체 노조의 파업 영향이 적지 않았을것"이라고 분석하고 "대규모 중징계와 이에 따른 마찰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jaeh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