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연령이 지난해 기준 34.6세를 기록해 3년만에 1.4세나 늘어났고 특히 2백34개 전국 시·군·구 가운데 81곳은 신생아보다 사망자가 더 많았다고 한다. 고령화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진전되고 있는지를 여실히 드러내 주는 결과에 다름아니다. 사실 우리의 고령화 속도는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다. 지난 2002년 현재 65세 이상 노령인구비율이 7.9%에 이르러 이미 고령화사회의 기준이 되는 7%선을 훌쩍 넘어섰고 2019년엔 14%를 넘어 고령사회로,2026년엔 20%를 넘어 다시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란게 일반적 전망이다. 특히 출산율마저 세계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상황이어서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우리나라 가임여성들의 평균 출산 자녀수는 1.19명에 불과해 선진국 평균 1.6명에도 크게 미달한다. 일할 사람,세금낼 사람,연금낼 사람은 계속 줄어드는데 생활보장을 해줘야 할 노령층은 증가한다면 사회가 순탄하게 굴러갈 리 만무하고 경제활력이 크게 떨어질 것도 불을 보듯 뻔한 이치다. 한마디로 국가의 조로화(早老化) 현상을 불러오게 된다. 고령화 및 출산기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절실히 요청되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특히 육아 여건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하다. 출산수당,육아 보조수당,출산시 세액공제,교육비 경감 등의 혜택을 늘려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은 물론 공공 보육시설도 대폭 확충해 여성들이 육아 부담없이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지 않으면 안된다. 기업들도 인구의 고령화와 출산기피는 국가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직시하고 이 문제에 관한 한 인식을 새롭게 할 필요가 있다. 물론 복지 혜택을 늘리는 것이 경영 부담을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은 틀림없지만 보다 중요한 국가적 과제를 해결한다는 차원에서 출산관련 지원을 크게 늘리고 출산후 근무도 실질적으로 보장해야만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