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 이라크 수출은 무관세로 이뤄지고 있지만 내년부터는 3-6% 가량의 관세를 물어야 할 전망이다. 17일 KOTRA에 따르면 이라크는 지난 6월부터 실시중인 전면 수입개방 및 100%무관세 정책을 올해말까지 유지한 뒤 내년부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키로 하고 적용할 관세율을 검토중이다. 최종 관세율은 이달초 취임한 재무장관과 무역부장관 등이 미.영 연합군의 이라크 재건기관(CPA)과 협의해 결정되겠지만 현지 분위기를 종합해볼 때 3-6% 사이에서정해질 가능성이 높다는게 KOTRA의 분석이다. CPA 고문이 일부 이라크 기업들과 관세율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정보를토대로 6%설이 유력하다는 관측도 있고, 대형 수입상을 중심으로 3% 주장도 나오고있지만 현실적으로 6% 이상의 관세를 매기는 것은 어렵다는데 대체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는 것. 이런 관측에는 이라크를 통제경제에서 시장자율에 의한 개방경제로 바꾸겠다는강력한 의지를 보이고 있는 CPA가 높은 수입장벽을 쌓을 리 없다는 인식이 깔려 있다고 KOTRA는 설명했다. CPA가 내수산업을 보호하는데 무게를 두는 것보다는 자유무역에 의한 이득을 더중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김규식 KOTRA 바그다드무역관장은 "걸프지역의 페르시아만협력회의(GCC) 회원국 6개국의 통합관세율이 5%"라며 "이라크도 세수확보, 자국산업 보호, 자유무역 확대라는 명제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관세율을 GCC와 같은 수준인 5%로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라크가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그동안 관세율 차이를 이용해 공공연히 벌어지던 국경 밀무역도 상당한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라크와 접경한 6개국중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를 제외하고 이란, 시리아,요르단, 터키 등 나머지 4개국은 높은 수입관세를 매기고 있어 지금까지는 무관세로이라크에 들어간 수입품중 일부가 경비가 허술한 국경을 뚫고 주변국으로 다시 반출되는 일이 많다고 KOTRA는 설명했다. (서울=연합뉴스) 공병설기자 kong@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