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헌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의 투신 자살을 비롯 가족 동반자살 등 최근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는 자살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정 회장은 남북경협 등을 주도해온 경제인이라는 점에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가치관의 극심한 변화와 그에 따른 책임의식과 '완벽성', '극대화된 빈곤' 등이 자살을 늘리는 요인"이라며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 안타까운 '자살 릴레이' =정 회장 자살 소식은 가뜩이나 자살신드롬 충격에 빠져있는 우리 사회에 충격파를 던지고 있다. 특히 최근엔 생활고 등을 비관한 비극적 자살이 잇따랐다. 지난 3일에는 성적비관으로 자살한 아들 때문에 한 가장이 목을 매 숨을 끊었다. 동반자살도 증가세다. 지난달 17일 인천에서는 생활이 힘들다는 이유로 한 주부가 어린 딸ㆍ아들과 함께 투신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지난달 31일에는 남편의 주식투자 실패를 비관한 30대 주부가 두 자녀를 숨지게 한 뒤 아파트에서 투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발생했다. 하루 전인 30일에는 전북 완주군 삼례읍 한 도로에 세워져 있던 카렌스 승용차안에서 이모씨(33) 일가족 4명이 숨진채 발견됐다. 하루 앞선 29일 경기도 용인에서는 카드빚에 몰린 회사원이 60대 노모와 세살배기 아들을 살해한 뒤 자살하려다 실패했다. ◆ 하루 36명꼴 자살 =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건수는 전년보다 6.3% 증가한 1만3천55건으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36명, 시간당 1.5명꼴로 자살한 셈이다. 생활고ㆍ사업실패로 인한 자살은 지난 2000년 7백86건에서 2001년엔 8백44건, 2002년엔 9백68건으로 해마다 늘고 있다. 경기침체 장기화로 경제활동이 왕성한 30대의 자살도 지난 2000년 2천4백44건에서 2001년 2천4백46건, 2002년 2천6백55건으로 급증하는 추세다. 경찰청 관계자는 "자살동기의 80% 가량이 경제적인 이유"라며 "최근 이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 사회적 타살논란 가열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 등 전문가들은 "자살은 순교형,복수형, 도피형, 사고형, 구원형 등 유형이 다양하다"며 "그러나 막다른 골목에 몰린데 따른 절망감을 벗어나기 위한게 대부분"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북사업으로 인한 압박감 등이 자살원인으로 추정되는 정 회장의 경우처럼 '흠결없는 완벽성'을 요구하는 '사회적 압력'도 큰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류범희 삼성병원 교수(정신과)는 "달라진 가치관과 자신이 처한 현실, 기대감의 괴리로 고통을 호소하는 상담이 크게 늘고 있다"며 "특히 최근에는 고학력자나 경제적ㆍ사회적 신분이 높은 상담자들이 많아졌다"고 말했다. 최근 발생한 자살 대부분이 30∼40대 준빈곤층에 집중돼 있다는 점에서 극빈층 지원에 치우친 사회안전망도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인섭 한국형사정책연구원 범죄동향실장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생활이 열악한 계층에 대한 배려와 관심을 줄수 있는 '사회적 카운셀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후진ㆍ이관우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