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인 환경운동연합이 경유자동차 문제를논의할 새로운 기구 구성을 제안, 지난 9월 `경유차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위원회'가 와해되면서 수면 아래로 가라 앉았던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재개될 것인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7일 성명을 내고 정부와 업계, 시민단체, 학계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 기구를 구성해 경유차 전반에 대한 범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자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와 업계가 다소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지난 9월 범사회적 기구인 `경유차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위원회'(이하 공동위)에서 탈퇴한 시민단체협의체인 `경유차 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도 대책 강구에 나섰다. 그 동안 공동위 부활을 추진하며 공대위 설득에 나섰다가 실패하고 시민단체와개별적으로 접촉하며 의견을 수렴했던 환경부는 이 같은 움직임을 반기는 분위기다. 환경부 관계자는 20일 "내년 6월까지 경유승용차 배출가스 허용기준을 고시해야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시간이 별로 없다"면서 "새로운 논의기구가 마련된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경쟁력 제고 등을 내세워 배출가스 기준 완화를 요구해 왔던 업계도 신중한 태도를 취하면서 일단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논의기구 구성에는 절차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 입장을표명할 계제가 아니다"면서도 "경유차 문제에 대한 논의가 빨리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은 마찬가지"라고 밝혔다. 그러나 정부와 시민단체, 업계의 긍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구가 순조롭게 구성될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새로운 논의기구 구성을 주장한 환경운동연합과 34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기존공대위 간의 주도권 다툼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도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공동위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기구 구성을 강조하는 반면 산업자원부.규제개혁위원회와의 마찰로 공동위에서 탈퇴했던 공대위 측은 환경운동연합이 공대위에 가입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경운동연합과 장시간에 걸쳐 기 싸움을 벌일 경우 시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시민단체가 소비자와 업계의 발목을 잡아 국가적 손실을 초래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렵다는 점에서 협상 여지는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문제는 환경운동연합이 종전 공동위 멤버로 참여했던 자동차업계의자격을 새 논의기구에서는 옵서버로 할 것을 주장하고 있기 때문에 마찰음이 생길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정부와 업계, 시민단체, 학계, 전문가 등을 포괄하는 새로운기구가 구성되면 경유차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뤄질 것"이라면서 "시민단체간에 의견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시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만큼 원만한 합의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