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6일 민주당을 탈당함으로써 앞으로 당정관계, 여야관계 등에서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김 대통령의 탈당으로 민주당은 우선 `집권여당'에서 원내의석 `제2당'으로 위상이 내려앉게 됐다. 대통령제하에서 `집권여당'은 대통령이 당적을 가진 정당을 의미해 대통령의 탈당으로 여야의 개념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당장 5월말 국회 의장단과 상임위 구성을 놓고 여야간 논란이 예상된다. 관례상 의장은 여당에서 맡아왔으나, 그렇지 않아도 전체 269석중 133석을 가진점을 들어 원내 1당인 자신들이 의장을 맡아야 한다고 주장해온 한나라당이 김 대통령의 탈당을 계기로 협상에서 논리적으로도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통령이 탈당해도 민주당이 야당이 되는 것은 아니나 실질적으론 집권여당이라고 말할 수가 없게 돼 원구성 협상에서 어려운 처지가 됐다"고 난감해 했다. 또 현재 민주당적을 갖고 있는 김동신(金東信) 국방, 이근식(李根植) 행자, 방용석(方鏞錫) 노동, 유삼남(柳三男) 해양수산, 한명숙(韓明淑) 여성장관 등의 탈당이나 장관직 사퇴 가능성이 높으며, 이근식 장관은 이날 탈당했다. 이와함께 당적을 보유하고 있는 각 공기업과 정부산하단체의 사장과 감사 등 간부들의 거취도 조만간 정리될 것으로 보인다. 당정관계에서도 이미 고위당정회의 폐지로 과거와 같은 긴밀한 협조체제는 사라졌지만, 민주당에 파견돼 있는 행정부 소속 전문위원(11명)들의 `원대복귀'도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당 정책위 관계자는 "정책을 결정하는 기존의 `당정회의' 보다는 정부와 `협의'수준에서 의견교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과 정부간 `협의' 수준으로 전환되는 셈이다. 또 대통령 아들들의 비리의혹 등 청와대와 관련된 야당 등의 공격에 대해서도 민주당의 대응방식이 기존의 `당사자'입장에서 `제3자' 입장으로 바뀌게 될 것으로보인다. 이와 관련,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 부인 이희호(李姬鎬) 여사에 대한 언론보도 내용과 관련, 기자들의 질문에 "청와대에서 일어난 일이라 당에서 논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한편 노무현(盧武鉉) 후보의 정계개편 공론화 과정에서 당안팎 일각에서 제기된 민주당의 당명 변경론이 민주당의 `탈(脫) DJ'화 가속화 속에서 본격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노 후보는 후보수락 연설에서 정계개편에 대해 `민주당 중심으로'라는 원고 대목을 삭제한 채 낭독했으며, 일각에선 헤쳐모여식 정계개편이 있을 경우 민주당명의 변경이 당연한 수순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동교동계 박양수(朴洋洙) 조직위원장도 "지금 대통령이 탈당한 시점에서 당명변경을 거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면서도 "앞으로 당내에서 의견을 수렴해 나갈 수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당명 변경문제는 한화갑(韓和甲) 대표 등 당 지도부가 주도적으로 나서는 것보다는 노무현(盧武鉉) 후보의 요청에 따라 최고위원회의에서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절차까지 제시했다. 이낙연(李洛淵) 기조위원장은 "당명 변경은 개개인의 의견으로 이뤄질 사안은 아니며, (당내) 컨센서스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승현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