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동원(林東源) 통일부 장관은 '국민의 정부'가 추진해온 대북포용정책의 입안에서 실행까지 전 과정에 참여한 '햇볕정책'의 상징인물로 통한다.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이 DJP공조 파기 위험을 감수하면서 임 장관의 자진 사퇴를 거부하고 표결처리라는 정면돌파를 택한 것은 현정부 최대 성과로 여겨지는 포용정책의 실패 자인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후문이다. 김 대통령은 지난 94년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으로 재직하던 임 장관을 삼고초려 끝에 초빙, 95년 아태평화재단 사무총장을 맡겨 '3단계 통일론'을 완성토록 했다. 이어 임 장관은 98년 정권 출범으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맡은데 이어 99년 통일장관, 같은 해 국가정보원장, 2001년 3월 다시 통일부 장관으로 현 정부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에 빠짐없이 참석하면서 대북정책을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임 장관은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발사, 서해교전, 금강산 관광객 민영미씨 억류 사건 등 햇볕정책의 역풍을 슬기롭게 극복해 나가면서 대북포용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지난해 6월 국가정보원장으로는 이례적으로 남북 정상회담 수행원으로 방북해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과의 두 차례 정상회담에 배석하고 6.15공동선언 탄생과정에 깊이 참여했다. 올해에는 미국에 조지 W. 부시 공화당 행정부가 들어서자 국가정보원장으로 미국을 방문해 신행정부의 외교정책 브레인을 잇달아 만나 포용정책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역할까지 수행했다. 이번의 경우 임 장관이 이같은 포용정책의 일관성에 오히려 발목이 잡혔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그는 평상시 포용정책의 4대 원칙으로 자신감, 인내성, 신축성, 일관성을 강조해 왔고, 이번 8.15 민족통일대축전 방북 승인 또한 교류의 확대를 통한 신뢰구축이라는 원칙의 일관된 적용에 따른 결과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에서 해임안이 가결된이후 퇴진이 불가피한 임 장관은 물러나더라도 현정부의 주변에 머물며 대북포용정책의 조율과정에 적극 참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임장관이 대통령의 외교안보 특보를 맡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북측이 남북 당국간 대화에 나오겠다는 뜻을 남측에 전달해 놓고있는 가운데 통일부 장관직에서 물러난 임 장관의 향후 행보가 주목된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