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주택 3개월 내내 주도권 싸움 .. '합병작업 왜 난항 겪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국민.주택은행간 합병문제가 합병추진위원회의 손을 떠나 김상훈 국민은행장과 김정태 주택은행장의 결단에 의해 좌우되게 됐다.
주택은행은 합병추진위원회가 제안한 ''주식교환비율 1.6(국민)대 1(주택), 존속법인 국민은행''안을 공식 거부했다.
이어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지난 6일 두 은행장을 만나 가급적 빨리 결론을 지어줄 것을 촉구했다.
이에따라 양 은행장은 이번 주 회동을 갖고 일괄타결을 모색할 방침이지만 상호 이견이 커 결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금융계는 보고 있다.
◇ 왜 싸우나 =핵심 쟁점은 두 은행의 주식교환비율과 존속법인을 어느 곳으로 정하느냐는 문제다.
지난해 12월22일 두 은행이 맺은 합병양해각서에 따르면 주식교환비율은 각서 체결 하루 전날의 주가를 기준으로 결정하도록 돼 있다.
다만 실사 결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면 조정이 가능토록 했다.
양해각서의 주가기준에 따르면 국민은행 주식 1.8571주와 주택은행 주식 1주가 같은 가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주를 뺀 국민은행의 자본금은 1조4천9백80억원, 주택은행의 자본금이 5천4백53억원.
시가총액을 감안한다면 합병비율은 국민 6대 주택 4가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지난달 24일 끝난 자산실사 결과 양 은행의 자산감소분은 국민 3천6백33억원, 주택 2천8백70억원으로 집계됐다.
합추위는 이를 반영해 1.6대 1의 주식교환비율을 제안했다.
이에대해 주택은행은 실사 결과가 주식교환비율을 바꿀 만큼 ''현저한 차이''가 아니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존속법인 문제도 합추위는 국민은행으로 할 것으로 제안했지만 주택은행은 뉴욕증시 상장 등을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 졸속추진의 후유증 =합병 발표후 3개월이 넘은 합병 추진활동은 합병은행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진흙밭 싸움에 불과했다는게 금융계 평가다.
그동안 두 은행은 △주택은행의 국민주택기금 부실문제 △국민은행 자회사인 국민카드 실적반영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지난달 15일에는 김 국민은행장이 "합병은행장은 규모가 큰 곳에서 나오는 것이 순리"라고 밝혀 한바탕 신경전을 연출하기도 했다.
합병원칙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조차 없이 정부 독촉에 못이겨 합병 발표부터 한 조급함의 후유증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두 은행의 합병 발표를 금융개혁의 가시적 성과로 강조해온 정부도 당황한 표정이 역력하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지난 6일 두 은행장을 불러놓고 조속한 타결을 촉구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
주택은행은 합병추진위원회가 제안한 ''주식교환비율 1.6(국민)대 1(주택), 존속법인 국민은행''안을 공식 거부했다.
이어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지난 6일 두 은행장을 만나 가급적 빨리 결론을 지어줄 것을 촉구했다.
이에따라 양 은행장은 이번 주 회동을 갖고 일괄타결을 모색할 방침이지만 상호 이견이 커 결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금융계는 보고 있다.
◇ 왜 싸우나 =핵심 쟁점은 두 은행의 주식교환비율과 존속법인을 어느 곳으로 정하느냐는 문제다.
지난해 12월22일 두 은행이 맺은 합병양해각서에 따르면 주식교환비율은 각서 체결 하루 전날의 주가를 기준으로 결정하도록 돼 있다.
다만 실사 결과 현저한 차이가 있으면 조정이 가능토록 했다.
양해각서의 주가기준에 따르면 국민은행 주식 1.8571주와 주택은행 주식 1주가 같은 가치를 갖는 것으로 평가된다.
우선주를 뺀 국민은행의 자본금은 1조4천9백80억원, 주택은행의 자본금이 5천4백53억원.
시가총액을 감안한다면 합병비율은 국민 6대 주택 4가 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나 지난달 24일 끝난 자산실사 결과 양 은행의 자산감소분은 국민 3천6백33억원, 주택 2천8백70억원으로 집계됐다.
합추위는 이를 반영해 1.6대 1의 주식교환비율을 제안했다.
이에대해 주택은행은 실사 결과가 주식교환비율을 바꿀 만큼 ''현저한 차이''가 아니라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존속법인 문제도 합추위는 국민은행으로 할 것으로 제안했지만 주택은행은 뉴욕증시 상장 등을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 졸속추진의 후유증 =합병 발표후 3개월이 넘은 합병 추진활동은 합병은행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진흙밭 싸움에 불과했다는게 금융계 평가다.
그동안 두 은행은 △주택은행의 국민주택기금 부실문제 △국민은행 자회사인 국민카드 실적반영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였다.
지난달 15일에는 김 국민은행장이 "합병은행장은 규모가 큰 곳에서 나오는 것이 순리"라고 밝혀 한바탕 신경전을 연출하기도 했다.
합병원칙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조차 없이 정부 독촉에 못이겨 합병 발표부터 한 조급함의 후유증이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두 은행의 합병 발표를 금융개혁의 가시적 성과로 강조해온 정부도 당황한 표정이 역력하다.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지난 6일 두 은행장을 불러놓고 조속한 타결을 촉구했다.
김준현 기자 kim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