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물가동향이 심상치 않아 걱정이다.

1월중 소비자물가가 지난해 1월에 비해 4.2%나 올라 이대로 가면 올해 물가억제 목표선 4%를 지키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어제 경제부처 장관들이 서둘러 물가대책회의를 가진 것도 이같은 우려를 반증하는 것이라고 본다.

특히 올해에는 자칫하면 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물가가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어느 때보다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물가안정대책의 주요내용은 물가안정기조를 해치지 않도록 통화신용정책과 환율정책을 안정적으로 운용하고,공공요금과 서비스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하며 의료비와 전·월세를 안정시켜 서민생활을 보호한다는 것이다.

이중에서도 특히 공기업의 경영합리화 노력을 통해 공공요금 인상요인을 최대한 자체적으로 흡수하도록 유도하고 요금인상이 불가피 하더라도 가능한한 하반기로 미루며 지방공공요금 안정을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한다는 내용이 눈에 띈다.

단기적으로 물가안정을 위해 공공요금인상 억제가 중요한 것은 사실이다.1월중 물가상승 요인을 보면 설 연휴가 낀데다 폭설로 농축수산물 반입이 줄어 농축수산물값이 많이 오른 탓이 크지만 의보수가를 비롯한 공공요금 인상의 영향도 적지 않다.

농축수산물값 외에도 LPG값 의료보험료 상수도요금 등이 줄줄이 오르는 바람에 피부로 느끼는 생활물가지수가 지난해 1월보다 5.0%나 올랐고 그만큼 서민가계의 주름살은 깊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가지 정책당국이 유의해야 할 대목은 국제유가와 원화환율 불안이 수입물가를 자극하고 이것이 다시 전반적인 물가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수입원자재 가격이 지난해 6월 이후 계속 올라 연간기준으로 사상 최고의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이 이같은 우려를 뒷받침하고 있다.

물가안정을 소홀히 할 경우 제조원가가 올라 우리 수출품의 가격경쟁력을 약화시킬 것이고,수출이 타격을 입으면 가뜩이나 내리막인 경기둔화세가 더욱 깊어질 것이 분명하다.

지난달 중순 콜금리를 현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하면서 전철환 한은총재가 스태그플레이션 발생가능성을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올해 구조조정을 일단락짓는 동시에 실업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경기부양에도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정책선택의 폭이 좁은 게 사실이다.

그럴수록 수출확대로 돌파구를 열어야 하는데 물가불안이 심해져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사태가 있어서는 결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