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슬금슬금 빼앗기는 건 국토가 침식당하는 것 못지 않게 너도나도 힘을 다해 방어할 일이라고 생각한다. 오락일변도의 프로에서 우리말의 기본적인 품격을 잃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요즘처럼 행인이나 방청객이 발언할 수 있는 프로가 많은 때일수록 진행자의 특별한 자질이 요청된다 하겠다''

소설가 박완서씨가 ''사랑방중계''라는 프로그램 도중 방청객의 ''무데뽀''라는 말에 대해 진행자가 부드럽지만 엄격하게 짚고 넘어간 데 대한 소회를 적은 글이다.

쇼프로그램은 물론 뉴스에서도 비속어와 국적불명 외래어가 난무하는 지금에 비하면 참 ''양반이던'' 시절의 얘기인 셈이다.

방송언어엔 기준이 있다.

''표준어여야 한다, 쉬워야 한다, 어려운 한자어나 외국어는 피한다, 시청자 중심의 경어를 사용한다,욕설이나 은어를 쓰면 안된다,지나친 수식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등이다.

그러나 국내 방송 현실은 이런 기준과 거리가 멀다. ''해피하니까'' ''얼마나 쇼크스러우셨겠어요'' ''재수 옴붙었네''는 약과다.

''쫙빠졌어.쭉쭉빵빵이야'' ''팍 꽂아뿐다'' ''대갈통'' ''작살날 준비를''에 이르면 놀랍다 못해 욕지기가 난다.

품위있는 말은커녕 술자리에서도 낯뜨거울 상소리가 그대로 쏟아진다.

국립국어연구원의 ''방송언어 오용실태조사'' 결과 지난 9∼11월 방영된 프로그램에서 1천7백33건의 국어 오ㆍ남용 사례가 지적된 것은 문제의 심각성을 드러내고도 남는다.

더욱이 사라나 벤또등 일본말을 그냥 쓰거나 발음 잘못이 많던 예전과 달리 비속어가 폭증한다는 사실은 방송언어가 더이상 방치할 수 없는 단계임을 일깨운다.

방송은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한다.

사치와 품격,민중성과 저속성이 구분되지 않고 노골적인 것이 솔직함으로 오도되는 게 현실이다.

그래도 방송에서 은어와 외설적인 말이 판치는 것은 창의력 부재를 선정적이고 과장된 표현으로 메우려는 의도로밖에 보기 어렵다.

방송사들은 연초 ''표준한국어를 사용하고 시청자 중심의 경어 사용원칙을 지키겠다''고 약속했다.

계속 이 약속을 못지키면 특단의 조치가 나와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