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코스닥 상장 문턱이 더 낮아지면서 기업공개(IPO)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25일 열린 ‘IPO 엑스포 2018’에서도 나스닥처럼 바뀐 코스닥 상장 요건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IPO 엑스포 행사장에 마련된 1 대 1 상담부스에서 예비 상장기업 관계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IPO 엑스포 행사장에 마련된 1 대 1 상담부스에서 예비 상장기업 관계자들이 설명을 듣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코스닥 활성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달부터 상장 자격 요건을 대폭 낮췄다. 당초 하반기로 예고했던 상장 규정 개정을 이달 초로 앞당겼다.

새로운 코스닥 상장 제도는 미국 나스닥처럼 상장 진입 요건을 수익성 중심에서 성장성 중심으로 바꾼 게 핵심이다. 종전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려면 ‘계속사업이익이 나고, 자본잠식이 없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은 기본이고 시가총액, 매출, 자기자본 등 다양한 추가 요건을 충족해야 했다.

이 같은 형식적 심사 기준이 간소화됐다. 계속사업이익과 자본잠식 관련 조건이 사라졌다. 금융위는 나스닥과 마찬가지로 시총과 자기자본, 세전이익 중 한 가지만 충족해도 상장 청구를 할 수 있게 했다. 구체적으로 △상장 후 시총(공모가 기준)이 1000억원 이상 예상되거나 △자기자본 250억원 △세전이익 50억원 중 한 가지 요건만 충족해도 코스닥 상장에 도전할 수 있다. 혁신기업의 IPO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당장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성장성이 확보되면 상장 요건을 완화해 주는 ‘테슬라 요건’이 대폭 확대된 것이다.

상장 요건이 개편되면서 코스닥 IPO 청구 가능 기업은 4454개사에서 7264개사로 62.7% 급증한 것으로 추산된다. 전체 외부감사 대상 비상장기업 1만8600여 개사 가운데 약 15%가 상장에 도전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강병모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제도팀장은 “성장 잠재력이 높은 혁신기업이 원활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이익 중심의 진입 요건을 성장성 중심으로 바꾸면서 IPO 관심 기업이 크게 늘어났다”며 “새로운 진입 요건에 해당하는 업종은 정보기술(IT)과 의약·바이오, 금융서비스, 소프트웨어 업체 순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조진형 기자 u2@hankyung.com